개요
안전보건 공단의 중대 재해사고에 대한 예방 자료로 절연 저항 측정사고에 대한 입니다. 사고 발생 개요는 변압기 절연저항 측정 중에 감전사고가 발생한 재해 사고입니다. 재해유형으로는 감전 사망 사고입니다. 재해 발생일시는 0000년 4월경 전기가열로 전용변압기의 고장이 발생하여 변압기의 1차 측 절연저항을 측정하기 위해 저항계로 측정하려는 순간 감전되어 사망한 재해에 대한 내용입니다. 사고 현장은 변전실내에 설치되어 있는 전기가열로 전용변압기 제품으로 용량의 경우 3상 450 KVA.21.8KV/450V 전압 이상이 발생하였습니다. 이 변압기의 이상 유무를 점검하고자 회사 전기안전관리담당자와 보조원이 변전실내로 들어가서 변압기를 점검해 본 결과 변압기의 내부가 소손되어 있음을 발견하고, 이를 해체, 수리를 위해 변전실 밖으로 나와 크레인 운전원에게 전화연락을 하던 중 변전실 쪽에서 '펑' 하는 소리가 나서 동료직원이 달려가 보니 보조원이 심한 화상을 입고 우측흉부에 피부가 터진상태에서 쓰러져 있음을 발견하게 됩니다. 사고당시 사고발생 변압기의 C.O.S의 퓨즈가 끊어진 상태였으며, 변압기의 냉각유 탱크 및 부스의 표면에 전기스파크 자국이 남아 있었습니다.
내용
안전공단에서 재해요인분석 내용입니다. 사고를 당한 분은 고장 난 변압기의 절연저항을 측정한 후 다른 변압기의 절연저항치와 비교하기 위하여 고장변압기 옆에 설치되어 있던 정상작동 중인 변압기 용량 500 KVA의 절연저항을 측정코자 하였습니다. 측정 당시 고압의 전선 라인에서는 보호장구를 착용하고 일정한 거리를 두었어야 했지만 측정 시에는 우측흉부를 변압기 냉각유탱크에 밀착시킨 후에 고압선로 22.9KV로 충전 중인 부스의 절연용 절연덮개를 열고 우측손에 절연저항계를 쥐고 부스에 접촉하는 순간에 바로 인체에 3,200V의 측정치 대지전압이 인가되어 우측 팔과 우측흉부에 통전전류가 흘러 감전사고가 발생하였습니다.
감전 당시 인체에 흐른 통전전류의 추정치는 인체에 인가된 전압이 3,200(V)이고 우측팔 및 우측흉부의 인체저항이 대략 500Ω이고, 접지저항이 10Ω정도로 추정하였습니다. 통전전류 I=인체인가 전압/인체저항+접지저항=3,200/510=6.2(A) 추정되는 감전사고가 발생한 것입니다. 순간적으로 고압전기는 사고자의 인체통전경로는 변압기 부스에서 사고자의 우측 팔을 통해 우측흉부를 통과하고 변압기 냉각유탱크를 통하여 대지 등의 전로가 형성되었습니다. 단 변압기의 외함에는 접지가 되어있는 상태였습니다.
기타
재해원인 직접원인 전기계측기 사용 미숙한 전기 보조원이 정상 작동 중인 변압기의 절연저항을 측정코자 하였습니다. 특히 절연저항 측정 시에는 반드시 전원이 OFF 된 안전한 상태에서 실시하여야 합니다. 사고 당시에 변압기는 1차 측 22.9KV로 충전되어 있었고 부스의 절연용 방호관까지 열고 절연저항을 측정하려 하였습니다.
절연 저항이란
개요절연저항(Insulation Resistance)은 전기회로와 기기의 절연 열화상황을 판단하는 중요한 수치이며, 절연이 떨어지면 누전. 감전, 화재 등의 위험성이 존재하며, 절연 저항측정은 대부분의 전기설
fasystem.tistory.com
기본적으로 절연저항측정 시는 전원을 차단한 상태에서 실시해야 하나 이를 무심코 무시하였거나 인지하지 못하였습니다. 특히 고압 전선로가 있는 현장에서의 충전전로에 대한 접근한계거리 마저 무시하였습니다. 전기는 눈에 보이지 않지만 표면으로 흐르는 성질이 강하여서 전압별 한계거리 이내로 접근하게 되면 상당히 위험하기 때문입니다. 절연저항 테스트 작업뿐만 아니라 사소한 전기작업 시에는 특히 전력이 살아 있는 활선작업 시에 인증이 있는 절연모 절연화 및 절연 장갑을 착용하고 작업을 실시하여야 합니다. 또한 전기 작업 시에는 2인이상 작업을 하며 크로스 체크를 하여야 하나 재해사고 현장에서는 이를 무시한 채 작업을 실시하던 중 재해 사고가 발생하였습니다. 어떠한 전기 계통에서라도 절연저항측정 시는 전원을 차단한 후 실시 해야 합니다. 활선작업 시는 활선작업용 기구를 사용하고 절연용 보호구를 착용하여 안전사고에 대비하여야 합니다. 특히 고압 선로의 충전전로에 대한 접근한계거리 유지 해야 합니다. 정전작업 시는 전원을 차단한 개로 개폐기로 계통으로는 작업자 외 다른 사람이 전기작동을 할 수 없도록 전기공사 중의 통전 금지 스위치 조작 금지 등의 표시판을 부착하고 시건장치로 세이프티 계통의 스위치를 사용합니다. 그리고 항상 주머니에 휴대용 검전기를 휴대하여 충전여부확인 합니다. 검전기 자체의 불량등을 감안하여 크로스 체크를 하여야 합니다.
'전기.공압 보전파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방수 스위치 (0) | 2025.04.09 |
---|---|
전원 라인 노이즈 (0) | 2025.04.09 |
5 자리 전류 디스플레이 (0) | 2025.04.07 |
TK 온도 컨트롤러 DI 입력 (0) | 2025.04.04 |
감전 사고 예방 자료 (0) | 2025.03.26 |
절연 Insuiation (0) | 2025.03.25 |
MELSEC 디바이스 (0) | 2025.03.20 |
감전으로 인한 재해 (0) | 2025.03.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