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디바이스 설명 프로그램 작성 시 사용할 수 있는 디바이스에 대한 설명입니다. MELSEC에서는 디바이스값을 쉽게 수집하고 표시할 수 있습니다. 설정은 간단한 파라미터 설정만으로 디바이스값을 로깅 데이터로 수집하여 SD 메모리 카드에 저장할 수도 있으며 USB 통신 또는 Ethernet 통신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모니터 할 수 있습니다. 로깅 기능의 수집 데이터는 Unicode 텍스트 형식에 대응할 수 있습니다, 펌웨어 GX LogViewer3을 사용하거나 스프레드시트 소프트웨어로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GX LogViewer 3에서 실시간 모니터 기능으로 대상 디바이스의 미세한 변화 타이밍을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기능은 이력 트레이스 관리기능을 향상할 수 있으며 설비 기동 그리고 트러블 시 디버그에 도움이 됩니다.
내용
입력 X PLC 입력 유닛에 연결된 입력 장치로 다양한 종류의 스위치와 여러 센서등의 동작을 ON/OFF 데이터를 저장하는 입력 디바이스입니다. 입력 데이터는 PLC CPU의 입력 저장 영역에 저장이 됩니다. X 디바이스는 프로그램상에서 코일로는 사용이 불가능합니다. 프로그램상에서 접점 사용수에는 제한이 없습니다. 출력 Y PLC 출력 유닛에 연결된 출력 장치 (모터, 램프, 솔레노이드 등 )에 연산 결과 (ON/OFF)를 전달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출력 디바이스입니다. 출력 리프레시 시 출력 데이터 저장 영역에 저장된 데이터를 출력 유닛으로 전송합니다. Y 디바이스 프로그램상에서 코일 및 접점으로 사용이 가능합니다. 단 동일 Y 디바이스의 출력 코일을 두 번 이상 사용은 하지 못합니다. 또한 X축과 Y축을 기반으로 하여 분산형 그래프 사용할 수 있습니다. 2개의 워드 디바이스값을 X축 그리고 Y축의 좌표로 기준 합니다. 이렇게 하여 점 또는 직선으로 표시할 수 있습니다. 분산형 그래프에는 2종류의 그래프가 사용할 수 있으며 , 2개의 워드 디바이스값을 수집하여 1개의 점으로 표시합니다. 궤적을 표시합니다. 그래프의 표시를 업데이트하는 경우에는 이전에 표시한 점을 남긴 채로 새로운 점을 표시합니다. 두 번째는 일괄 표시에 대한 방법입니다.
미쯔비시 PLC 자료
개요미쯔비시 프로그램 메모리 태스크 크기 변경과 RUN 중 쓰기 대조 방법 그리고 PLC 고장 시에 페일 세이프 대책에 대한 내용 정지입니다. 단종된 PLC 카드의 주요 내용 몇 가지와 계산기 링크시
fasystem.tistory.com
2개의 워드 디바이스 값을 1조로 하는 복수의 데이터를 일괄로 수집합니다. 그다음에는 복수의 점으로 표시합니다. 그래프의 표시를 업데이트하는 경우에는 이전에 표시한 점을 남길 수도 있고 삭제할 수도 있습니다. 출력 디바이스 Y출력 유니트에 접속한 릴레이나 표시기기 등의 부하 등으로 신호를 보내기 위한 릴레이 CPU 유니트에서 특수 유니트로 프로그램 연산의 결과를 신호로서 보내기 위한 릴레이외부출력의 On/ Off상태가 제어신호로서 출력 외부 출력기기 한 개에 대해서 PLC 내부에 출력릴레이 Yn을 내장하고 있다고 생각하고 PLC PROGRAM시에 입력/ 출력접점으로 작성 내부 릴레이 M CPU 외부로 직접 출력할 수 없는 PLC 내부의 보조 릴레이로서 , CPU의 ON/OFF 접점 데이터를 저장하는 비트 디바이스입니다. 파라미터에서 휘발성, 불휘발성 영역으로 가변이 가능합니다. (Default는 휘발성 영역 ) 프로그램에서 접점 및 코일로 사용이 가능합니다. 단 출력 코일은 두 번 이상 사용이 불가능합니다. 래치 릴레이 L 내부 릴레이와 사용 방법은 동일하나 불휘발성 영역으로 전원 OFF 시에도 메모리 카세트 내의 배터리에 의해 데이터를 유지하는 내부 릴레이입니다. 래치 데이터 삭제 방법은 CPU 전면의 Latch Reset스위치를 이용합니다. 5 스텝 릴레이 S 내부 릴레이와 사용 방법은 동일하나 스텝 릴레이로서 사용이 됩니다.
링크 릴레이 B 내부 릴레이와 사용 방법은 동일하나 CPU 간 네트워크 통신 또는 리모트 통신 시 CPU 간 상호 데이터를 공유하는 디바이스입니다. 네트워크를 하지 않을 경우 내부 릴레이로서 이용 가능합니다. 고장 검출용 릴레이 F는 고장 검출용 릴레이로서 사전에 고장 검출용 프로그램을 작성해 두고 실행할 경우 F 릴레이중 ON 된 디바이스 번호가 특수 레지스터 저장이 됩니다. 타이머 T ON Delay 타이머로서 설정값 단위에 따라 타이머를 설정할 수 있으며 100ms,10ms, 100ms 등의 적산 타이머등 세 종류의 타이머가 있습니다. 이 값은 파라미터에서 설정할 수 있습니다. 카운터 C에서는 기본 프로그램에서 사용하는 Up-Counter 및 Interrupt 프로그램에서 사용하는 Interrupt Counter 두 종류가 있습니다. 데이터 레지스터 D CPU 내의 내부 데이터를 보관하는 저장 영역입니다. 16 비트 또는 32 비트 단위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습니다. 16 비트 저장 영역은 -32768~+32767 까지를 저장할 수 있습니다. D9000~D9255의 영역은 시스템 제어 영역이므로 사용에 주의를 요합니다. 링크 레지스터 W 네트워크 통신 및 리모트 통신 시 CPU 간 상호 워드 데이터를 공유하는 디바이스입니다. MELSECNET Ⅱ, 10H에서는 동일 번호의 B, W를 복수국에서 쓰기 하여 영역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MELSECNET의 사이클릭 통신 사양으로서 각 국이 송신에 쓰는 영역은 파라미터에 의해 할당할 수 있습니다. 자국에 할당된 LB, LW는 CPU에서 링크 모듈에 그리고 다른 국에 할당된 LB LW는 링크 모듈에서 CPU에 리프레시됩니다. 다른 국에서 할당된 영역에 프로그램으로 사용하는 경우 명령 실행 시는 순간적으로 덮어쓰기 가능합니다. 링크 리프레시에서는 링크 모듈에 따라 다른 국의 정보가 덮어쓰기 되어 버립니다. 네트워크를 하지 않을 경우 데이터 레지스터 D 영역과 동일하게 사용됩니다. 파일 레지스터 R CPU의 데이터 저장 영역 D, W가 부족할 경우 메모리 카세트의 저장 영역을 이용하여 워드값을 저장할 경우 사용하는 디바이스입니다. 파라미터의 메모리 용량 설정 영역에서 파일 레지스터의 사용범위를 설정합니다. 파일 레지스터 1 Point 당 2Byte를 차지합니다.
기타
WIN에서 디바이스 일괄 모니터로 표시한 워드 데이터값을 그대로 EXCEL에 붙여 넣을 수 있는 방법은 먼저 PLC 읽기로 디바이스 메모리를 읽습니다. 그다음 에디바이스 메모리를 일람으로 표시하고 바로 EXCEL을 실행합니다. 펌웨어가 GPPW라면 여기에서 행렬로 복사하고 붙여 넣기를 실행합니다. 행렬 자체는 사용자가 설정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EXCEL에 복사를 한 후에 엑셀에서 편집하여 사용합니다. 어큐뮬레이터 A기본 명령 또는 응용 명령 (ROR, SUM, SER 등 )의 연산 결과를 저장하는 임시 워드 저장 영역입니다. 인덱스 레지스터 Z, V 디바이스 수식용으로 사용하는 데이터 레지스터 영역입니다. 디바이스의 인덱스 수식은 16비트를 1 워드 하여 로 실행합니다. 예를 들어서 ZR0Z0은 (ZR0)+(Z0의 내용)이 되어, D0과 D1의 내용은 ZR0과 ZR1에 저장됩니다. A2 SHCPU에서는 비트 단위로의 인덱스 수식은 불가능합니다. 비트 디바이스는 자리가 지정된 경우에 인덱스 수식을 할 수 있습니다 MuN 타입의 경우 접점과 코일에서는 이용이 불가능합니다. MuN, MnU 타입의 경우 접점과 코일에서도 인덱스 레지스터를 이용이 가능합니다. 인덱스 레지스터 저장값에 따라 명령의 Source, Destination 영역이 가변 됩니다. 네스팅 NMC, MCR의 Master Control 명령을 사용할 경우 영역을 지정하는 디바이스입니다. 확장한 파일 레지스터의 모든 영역을 인덱스 수식할 수 있도록 인덱스 레지스터를 32비트 처리하여 기존의 32K 워드의 벽을 초과한 프로그래밍도 가능합니다. 그리고 규칙적인 데이터 배열에서의 효율적 연산에 필수적인 인덱스 수식의 처리가능합니다. FOR~NEXT 명령 등의 반복 처리 프로그램에서 인덱스 수식을 많이 사용한 경우 스캔 타임을 줄일 수 있습니다. 포인터 P분기명령 은 CJ, SCJ, CALL, JMP의 분기점을 지정하는 디바이스입니다. 인터럽터용 포인트 I인터럽터 요인이 발생할 경우 인터럽터 요인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으로 분기하는 곳을 지정하는 디바이스입니다.
'전기.공압 보전파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감전 사고 예방 자료 (0) | 2025.03.26 |
---|---|
절연 Insuiation (0) | 2025.03.25 |
감전으로 인한 재해 (0) | 2025.03.19 |
누설 전류에 의한 사고 (0) | 2025.03.17 |
REACTOR 리액터 (0) | 2025.03.17 |
고전압 고용량 DC 릴레이 (1) | 2025.03.12 |
차단기 선정 자료 (0) | 2025.03.11 |
NOISE 대책 (0) | 2025.02.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