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한국산업안전공단의 재해 사고에서 누설전류에 대한 예방 자료입니다. 재해 사고 발송은 0000년 0월 0일 12:00경 충남 서산시 소재 ○○카펫 압출 작업장에서 일어난 누설 전류에 의한 감전 사고에 대한 내용입니다. 이 회사에서 근무하던 부공장장인 피재자가 압출기 하부에 외부 공기가 침입하는 것을 막기 위해 바닥에 엎드려 철재 칸막이를 설치하던 중 누전되는 원료공급설비인 호퍼로더에 감전되어 중대재해 사고로 사망한 재해사고에 대한 내용입니다.
과정
재해발생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카펫은 화학섬유로 실내용 카펫을 생산하는 사업장입니다. 재해당일 피재자는 압출반 하부층에서 2층에 있는 압출반으로 외부공기가 들어오자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철판으로 공기유입 부문을 막는 작업을 실시하였습니다. 재해 사고자는 철판을 고정하기 위하여 에어 드라이버를 사용하였으며, 구석진 부분의 철판 접합이 용이하지 않자 바닥에 엎드려 머리를 구석진 아래부문을 향하여 작업을 실시하였습니다. 사고자는 작업 중 머리 부분이 압출기에 원료를 공급하는 호퍼로더에 근접되었고 이때 호퍼로더는 누설 전류에 의하여 누전이 되는 상태였으나. 누설 전류는 눈으로 보이는 것도 아니고 누설이 발생하여도 알 수가 없었으므로 피재자는 누전사실을 모르고 작업 중 머리가 호퍼로더에 접촉하자마자 감전이 되어서 현장에서 사망한 중대 재해 사고였습니다. 재해발생 원인에서는 전기기계기구의 금속제 외함접지가 미흡했습니다. 또한 접지선이 호퍼로우더에는 연결되었으나 케이블 중간 지점의 접지선이 단절되어 있어 누전이 발생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누전전류가 대지로 흐르지 못한 상태였습니다. 이러한 현장 환경에서 누설된 전류가 작업자의 인체로 흘러 치명적인 사고가 발생한 것입니다. 접지선의 최초에는 제대로 설치가 되어 있었으나 시간이 지나감에 따라 관리 불량 점검 불량등으로 접지선은 단절된 상태로 있었으나 발견하지 못하고 방치하였다가 중대 사고가 발생할 것입니다. 누설전류의 발생 원인에서는 다중접지계통에 흐르는 불평형 누설전류에 의하여 누설 전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피뢰기를 비롯한 고압기기의 절연열화로 인한 누설전류가 발생하기도 합니다. 표류부하손에 의한 유도성 순환전류 역시 누설 전류의 원인입니다. 그리고 저압 측 누전이나 자연재해로 지락에 의한 누설전류 역시 누설 전류의 발생 원인 중에 하나입니다. 일반적으로 전선과 대지 간의 정전용량에 의한 누설전류도 발생합니다. 파워 서플라이에서 AC를 DC로 변환하는 컨버팅 과정등에서 정전용량에 의한 누설전류가 발생할 수 있으며 전자기기 노이즈 필터에 의한 누설전류 및 고조파 발생기기에 의한 누설전류 등이 있습니다.

대책
이러한 누설 전류에 의한 사고에서 동종재해 예방대책 외함에 접지실시 전기기계기구의 금속제 외함에 접지실시 전기기계기구의 금속제 외함에는 누전에 의한 감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접지를 실시함으로써, 누전이 발생하더라도 누전전류가 신속히 대지로 방출될 수 있게 하여 작업자가 접촉하는 경우에도 누전전류가 흐르지 않도록 하여야 합니다.
차단기 용량 조견표
개요직입 기동 모터를 사용할 때와 스타델타에서의 모터 사용 시 모터 용량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와 전자 접촉기를 선정하여야 합니다. 모터의 기동전류와 정격전류에 따른 누전차단기와 배선
fasystem.tistory.com
작업 현장에서는 수시로 현장의 접지선 상태를 점검하여야 합니다. 접지선이 부설되어 있는 현장에서는 주기적으로 접지선의 탈락유무와 접지 전의 접지저항측정 등을 확인하여야 합니다. 클램프 메타 사용 시에서는 단상 2 선식 전기회로는 2선을 일괄로 클램프 하여 측정합니다. 3상 4 선식 전기회로는 4선을 일괄로 클램프안에 들어오게 하여 측정합니다. 단 클램프 할 수 없는 경우는 기기의 접지선으로도 누설 전류를 측정할 수 있습니다. 누설전류 테스트기를 충분히 숙지하고 사용합니다. 누전전류가 발생 이상전류일 경우 이러한 전류가 작업자의 신체에 흐르거나 현장에서 폭발 화재 발생원인이 될 수 있으니 반드시 점검합니다. 누전차단기 설치 작업장의 특성에 따라 접지가 곤란한 경우에는 누전차단기를 설치하여 누전 시 전류가 자동으로 차단되도록 합니다 누전차단기 설치 하였어도 접지를 병행 합니다. 누전차단기 설비기준에 나와있는 절연저항 기준치 110V에서는 0.1MΩ이상 220V에서는 0.2 메가옴 이상 380V에서는 0.4 메가옴이상 이어야 합니다. 누전차단기 상부에는 명판에 표시가 되어 있습니다. 부하용량 30A 일 경우 전류용량 30A용량의 부하이고 정격감도전류 30mA 의미는 정상적인 상태에서 누설전류가 0.03A이상 흘리면 차단된다는 의미입니다. 정격부동작전류 15mA의 경우에는 누전되는 전류가 15mA이하에서는 차단되지 않는다는 의미입니다. 누전차단기의 동작시간 0.03초 이내여야 합니다. 누설전류가 생겼을 때 동작되는 시간. 정격차단전류 1.5KA의 의미는 단락 즉 합선이 발생했을 때 순간적으로 엄청난 전류가 흐르는데 1.5KA까지는 차단기에 손상이 없이 차단능력이 있다는 말합니다.
'전기.공압 보전파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감전 사고 예방 자료 (0) | 2025.03.26 |
---|---|
절연 Insuiation (0) | 2025.03.25 |
MELSEC 디바이스 (0) | 2025.03.20 |
감전으로 인한 재해 (0) | 2025.03.19 |
REACTOR 리액터 (0) | 2025.03.17 |
고전압 고용량 DC 릴레이 (1) | 2025.03.12 |
차단기 선정 자료 (0) | 2025.03.11 |
NOISE 대책 (0) | 2025.02.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