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안전보건 공단의 중대 재해사고 예방 자료 등을 참조로 한 내용입니다. 주로 전기 감전에 대한 내용 중에 하나로 감전 사고의 재해 발생은 2007년경 남지방의 모 압력용기 제조업체에서 일어난 재해 사고입니다. 작업장에서 발생한 감전 사망 사고에 대한 내용입니다. 작업자는 철제 압력용기의 부식 부분에 대한 연삭작업을 위해 이동식 그라인더를 운반하던 중에 그라인더로 전력을 공급하는 전선의 피복이 손상된 이동전선의 220V 충전부에 접촉되어 감전으로 사망한 재해임. 2016~2020년, 5년간 발생했던 감전사고로 인한 사상자 수 2,509명 중 1,883명이 산업재해 사상자였다. 전류가 신체를 관통하면 화상과 피부조직이 파괴될 수 있으며, 근육 수축 및 심정지를 일으킬 수 있다. 감전 사고로 인한 이런 생리적인 현상으로 현장에서는 떨어짐, 넘어짐 등 2차 재해까지 발생할 우려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내용
사고 원인으로는 압력용기 제조 작업장에서 철제 압력용기의 부식 부분에 대한 연삭작업을 위해 이동식 그라인더를 운반하던 중 피복이 손상된 이동전선의 전기 220V 충전부에 접촉되어 감전으로 사망한 재해입니다. 원인은 절연이 손상된 이동전선에 220V의 전원을 투입한 상태로 포설하던 중 충전부와 비로 인해 대지와의 접지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철제 압력용기에 접촉되어 인체에 220V가 인가되면서 감전으로 인한 사고로 통전경로는 220V 절연피복 손상 이동전선으로부터 작업자의 왼손에 닿으면서 통전되어 심장을 거쳐서 오른손으로 220V가 통전하여 접지상태의 철제 압력용기 와 전원변압기 중성점으로 이어진 계통으로 사고가 발생한 재해 사고입니다. 감전사고는 전류의 크기에 따라 치명적으로 위험할 수 있습니다. 같은 전압에 대해 감전체의 저항 값이 이 작을수록 반대로 전류 값은 커지기 때문에 매우 위험합니다. 아래 충전선로와 접근 거리 한계에 대한 내용은 기준 값이 아닙니다. 최소한이 접근 한계거리를 예시로 둔 것입니다.
위와 같은 감전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배선 등의 절연성능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고압 전기 라인에서는 전선에 직접 접촉하지 않아도 감전이 됩니다. 활선 상태의 배선 등의 절연피복은 충전부 방호를 위한 기본적인 조치로 전선의 피복손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관리하여야 합니다. 또한 절연테스타기등을 사용하여 절연 상태를 주기적으로 확인합니다. 절연 테스트기를 사용할 경우에는 반드시 전원을 OFF 한 상태에서 확인하여야 합니다. 전선의 피복이 손상된 배선은 즉시 교체하여 절연사고를 예방하여야 합니다. 또한 사용환경에 적합하도록 정격용량에 맞는 누전차단기 반드시 접속하여 사용하도록 합니다. 또한 누전 차단기 선정 시에는 차단 동작시간은 0.03초 이내로 작동하는 제품을 선정합니다.
감전사고의 가장 큰 원인으로는 활선 상태에 있는 다양한 전기 충전부에 직접 접촉하거나 안전거리 이내 접근해서 발생합니다. 특히 전선등에서의 절연열화로 인한 손상 또는 파손에 의해 누전된 전기기기 등에 접촉 시 감전될 수 있습니다. 또한 잔류전하가 충전된 콘덴서에 의해서도 감전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표면으로 흐르는 전기의 특성상 피복이 되어 있는 고압 전선 즉 고압케이블 등에 일정 거리에서 접촉 시 감전될 수 있습니다. 전기기기 등의 외함과 권선사이 또는 외함과 대지 간의 정전용량에 의한 전압이 인가된 경우에 지락전류 등이 흐르고 있는 도체부근에 발생하는 전위경사도 즉 전위차에 의한 경우 그리고 고전압 송전선의 정전유도 또는 유도전압에 의한 경우입니다. 일시적 또는 오랫동안 정전된 상태의 전기기기에서 정전회로에 오조작 또는 자가용 발전기 운전으로 인한 역송전에 의한 경우에도 발생합니다. 자연 현상에서 낙뢰의 진행파에 의한 경우에도 감전 사고는 발생합니다.
누전차단기 선정 방법
개요누전차단기는 흔히 ELB 또는 ELCB라고 명칭 합니다. Earth Leakage Circuit Breaker로 표기하며 과부하 또는 단락 누설전류등이 발생하게 되면 이상 상태에 따라서 자동적으로 차단하는 장치를 의미합
fasystem.tistory.com
기타
감전사고의 특징 전기작업과 직접 관련이 없는 일반작업자에게 많이 발생되고, 일반작업자의 경우에는 생산설비인 저압전동기의 누전에 의해서, 전기작업자의 경우에는 정전 또는 활선, 활선근접 작업 시의 안전수칙의 미준수로 발생되며, 일반적으로 고압이 상대적으로 더 위험하나 실제 재해발생은 고압보다 저압에서 훨씬 많이 발생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사람체내의 일부 또는 대부분에 전기가 흘렀기 때문에 충격을 받은 현상이며 상해를 입지 않는 경우도 있으나, 상해를 입었을 때에는 사망률이 높아 매우 높습니다. 부주의 또는 잘못 알거나 무의식적으로 직접접촉 충전부에 인체의 일부가 접촉하여 전압이 인가되는 형태로 활선작업 중이나 정전작업 중 타인이 전원스위치를 투입하였을 때 발생하기도 합니다. 따라서 차단 속도가 빠른 누전 차단기의 설치는 기본입니다. 간접접촉으로는 전선피복의 절연손상 또는 아크 발생에 의하여 발생하기도 합니다. 평상시 충전되지 않는 기기의 금속제 외함 등에 누전이 되어 있는 상태에서 인체의 일부가 이 외함과 접촉하여 감전되는 형태로 접지는 반드시 하여야 합니다. 아크의 복사열에 의한 화상전기가 흐르고 있는 전기회로를 개폐할 때 Arc가 발생하는데 큰 전류가 흐르거나 고전압이 가압된 회로에서 단락 또는 지락사고가 발생할 때에는 강열한 아크아크가 발생합니다. 이때 작업자가 근처에 있을 경우 아크 복사열에 화상을 입기도 하고 때로는 생명을 잃을 수도 있습니다. 전기화재전류는 발열 그리고 방전 등의 현상을 수반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전기 에너지는 1 Kwh가 약 860Kcal로 환산되므로 그것이 열량을 발생하기 때문에 전기가 화재원이 될 수 있습니다.
'전기.공압 보전파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감전 사고 예방 자료 (0) | 2025.03.26 |
---|---|
절연 Insuiation (0) | 2025.03.25 |
MELSEC 디바이스 (0) | 2025.03.20 |
누설 전류에 의한 사고 (0) | 2025.03.17 |
REACTOR 리액터 (0) | 2025.03.17 |
고전압 고용량 DC 릴레이 (1) | 2025.03.12 |
차단기 선정 자료 (0) | 2025.03.11 |
NOISE 대책 (0) | 2025.02.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