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배선용 차단기 용량 선정 방법에 대한 내용입니다. 차단기와 전선의 굵기선정 방법의 자료는 아래 링크자료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단상 차단기를 선정할 경우 배선용 차단기 용량= 부하용량/전압으로 계산합니다. 3 상 배선용 차단기의 용량을 계산할 경우에는 차단기 용량= 부하용량/전압 x √3으로 계산합니다. 단상 P1=VI역률(kW)에서 I(부하전류)=P1/Vx역률(A) 부하전류는 단상 220V는 1kW당 5A로 계산합니다. 예를 들면 단상 220V의 용량이 20킬로라고 가정하면 20kW x 5A=100A 차단기는 100A를 선정합니다. 삼상 4 선식 P3= √3 xVxIx역률(kW)에서 I(부하전류)=P3/√3 xVx역률, 삼상 4 선식 380/220V는 1kW당 1.7A로 계산합니다. 예를 들면 3 상동력 380V의 용량이 100킬로라고 가정하면 100 kWx1.7 A=170 이론 값으로 차단기 용량 선정은 175A~200A를 선정합니다. 기타 용량선정 SERVO.HEATER. 전동기 등은 제조사별 용량표에 기준으로 합니다
내용
배선용 차단기의 용량 선정 방법에 대한 자료는 아래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차단기 용량에 따른 전선의 굵기등의 대한 자료와 엑셀 선정 자료 역시 아래 링크로 자료 볼 수 있습니다. 차단기 용량 선정에 있어서 중요한 사항은 주위 온도와 사용 회로 등입니다. 사용 전압의 사양과 그리고 선이 단상인지 3상인지 등의 선식과 교류회로인지 직류 회로인지를 확인합니다. 또한 차단기 사용 목적이 인입 쪽인 이 간선 또는 분기되는 부분에 사용할 것인지 아니면 사무실이나 가정용인지 분전반용으로 사용할 것인지 등과 누전을 보호해야 할지 등에 대한 사항을 검토합니다. 또한 차단기 선정에서 차단기를 어느 부하에 적용할 것인지에 대한 목적에 따라 차단기 용량 선정에서 달라질 수도 있습니다. 전동기의 분기회로용 차단기로 사용할 것인지 아니면 콘덴서 회로보호용 차단기 변압기의 1차 측의 차단기 또는 용접기회로용 차단기 전등이나 전열 회로에 사용할 것인지 등을 확인하고 부하의 돌입전류 보다 높은 값으로 선정하여야 합니다. 기본적으로 차단기의 선정 원칙은 우선 사고 전류를 안전하게 차단할 수 있어야 하며 또한 부하전류는 안전하게 통전할 수 있어야 합니다. 차단기 용량을 너무 낮게 선정하면 다양한 부하 가동 시 사고 전류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빈번하게 동작할 수 있습니다. 누전차단기에서의 정격전류는 반드시 부하 전류이상으로 선정하여야 합니다. 특히 과부하에서 단락 보호겸용 누전차단기 정격 전류에서는 분기회로에서 사용되는 전선의 허용 전류치 이하로 선정하여야 하며 전선의 굵기등에 대한 자료를 링크자료에서 참조합니다.
차단기 용량 선정 방법
개요배선용 차단기 용량 선정 방법에 대한 내용 정리입니다. NFB(No Fuse Breaker) 배선용 차단기 배선용 차단기 용량 계산 방법입니다. 차단기와 전선의 굵기선정 방법의 자료는 아래 첨부한 케이블
fasystem.tistory.com
기타
배선용 차단기 등에서는 차단기 내부에 보조접점이나 경보접점등을 추가로 부착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습니다. 다만 제조사에 따라 없는 경우도 있으니 확인하고 사용합니다. LS산전의 경우 경보접점 Alarm Switch, AL, AL 경보접점은 차단기의 Trip 상태를 외부로 표시하기 위해 사용하는 장치입니다. 차단기가 과부하, 단락 또는 SHT, UVT 등으로 인해 TRIP 된 경우 이를 외부로 표시하기 위해 사용하는 장치입니다. 이 장치는 차단기가 사고에 의해 자동으로 TRIP 된 경우 및 Trip 버튼을 누르는 경우도 동작을 하고, 수동개폐 시 On/Off 에는 동작하지 않습니다. 보조접점 Auxiliary Switch, AX로 표기합니다. AX 보조접점 은 차단기의 좌측이나 우측내부에 장착할 수 있는 보조 장치입니다. On, Off 상태를 외부로 표시하기 위해 사용하는 장치입니다. 1개의 AX는 일반적으로 C접점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부족전압트립장치 Under-voltage trip, UVT의 경우에는 선로 전압이 정격의 20~70% 정도까지 내려가면 차단기를 자동으로 트립 시킬 수 있도록 제작된 장치입니다. 트립동작은 시간의 지연 없이 순간적으로 실행되며 전압이 정격의 85%까지 회복되지 않는 한 차단기는 재투입 Reset 및 On 되지 않습니다. 또한 외부 트립 장치로 전압을 사용할 수 있는 전압트립장치 Shunt Trip, SHT입니다. SHT 전압트립장치는 외부에서 SHT로 특정 전압이 인가하여 트립신호될 경우 차단기를 트립 (Trip)시킬 수 있도록 제작된 장치로써 연속 정격형입니다. 따라서 AX와 다르게 션트의 경우 전압 사양을 선정하고 주문합니다. 예를 들어 AC220V 이면 션트를 차단기 내부에 설치하고 외부에 션트로 220V 전압을 인가하면 차단기를 트립이 됩니다. 트립동작은 시간의 지연 없이 순간적으로 실행됩니다.

차단기 명판에서 Ics는 정격서비스 단락 차단용량을 표시한 것입니다. Service short circuit breaking capacity의 약어입니다. 백분율이 높을수록 좋은 성능을 가졌다고 할 수 있습니다. 제작된 차단기에 단락 전류를 통과하였을 때 차단기의 최초 용량값에 대해 몇 % 까지 차단기가 견딜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이렇게 단락이 흐른 차단기를 켜서 다시 한번 단락전류를 흘렸을 경우에 차단기가 이상이 없다면 극한차단전류 Icu라고 합니다. 차단기 명 핑에서 Ui 그리고 Uimp의 내용은 Ui의 경우에는 정격 절연 전압의 내용으로 명판에 그 전압이 표기가 되어 있습니다. 명판에 적혀 있는 전압까지 차단기의 절연이 파괴되지 않고 견딜 수 있다는 의미로 정격 절연 전압의 최대 값입니다. 그리고 Uimp는 차단기의 정격임펄스 내전압을 표시한 것으로 낙뢰등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서지 전압에 견딜 수 있는 전압의 범위를 적어 놓은 것입니다. 예를 들어 7kV로 적혀 있으면 서지 전압등 7000V까지의 낙뢰전압에 견딜 수 있다는 의미로 각 차단기 제조회사마다 다를 수 있습니다. 차단기 명판에서 AT와 AF에 대한 내용입니다. AT는 Ampare Trip의 약어로 AT로 표기하고 AF의 경우에는 Ampere Frame의 Initial입니다. LS 산전의 경우 예를 들어 ABS53 c 50A의 차단기 명판을 보면 50AF 3P 이런 식으로 표기되어 있는 경우를 볼 수 있습니다. AF의 의미는 배선용 차단기의 프레임 즉 몸체를 의미합니다. ABS53 c 프레임에서는 15A.30A.40A.50A 등등으로 정격 차단 용량을 선정할 수 있습니다. AF로 표기하는 경우도 있고 SIEMENS 차단기의 경우 Frame이라고 표기할 수도 있으므로 반드시 AF로 표기하는 것은 아닙니다. 이렇게 차단 용량은 다르지만 같은 프레임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 프레임은 각 차단 용량을 견딜 수 있는 몸체라고 할 수 있습니다. AT의 경우에는 암페어 트립이라는 의미로 차단기에 따라서 표기가 되어 있는 경우도 있고 없는 경우도 있습니다. Ue의 표시는 차단기에서의 정격 사용 전압을 표시한 내용입니다. 또한 P라고 쓰인 것은 Pole입니다. 2P는 단장이고 3P는 3상입니다 입력 단자에 대한 내용으로 3P의 경우 입력 단자는 3개입니다.
'전기.공압 보전파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감전으로 인한 재해 (0) | 2025.03.19 |
---|---|
누설 전류에 의한 사고 (0) | 2025.03.17 |
REACTOR 리액터 (0) | 2025.03.17 |
고전압 고용량 DC 릴레이 (1) | 2025.03.12 |
NOISE 대책 (0) | 2025.02.24 |
KSD-2048 서지 보호기 (0) | 2025.02.21 |
FANUC ALARM (0) | 2025.02.21 |
FUNAC MANUAL (0) | 2025.02.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