습도 센서
본문 바로가기
전기 자동화 용어

습도 센서

by 자동제어기 2022. 12. 14.
"
"
300x250
반응형

개요

습도센서는 자동제어. 계측장소 전기 전자, 농업용, 공업용 및 각종 특정용 등 광범위한 응용 분야를 갖고 있는 화학 센서의 일종입니다. 현재 전자부품으로써 이용되고 있는 습도센서는 열전도식으로 서미스터방식과 금속산화물 세라믹계 등을 이용한 흡착식이 대부분입니다. 습도센서를 재료에 따라 분류하면 전해질계센서, 염화리튬 센 사 유기고분자계센서, 세라믹센서, 마이크로파 수분센서, 방사선센서 등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종류별

습도센서의 종류에는 염화리튬 습도센서로 일염화리튬(LITHIUM MONOCHLORIDE), 염화리튬 LICL.LITHIUM CHLORIDE LICL, LICL 클로르 KU LITU(CHLORKU LITU) LiCl로 O.HS12885; RTECS OJ5950000등이 있으며 원 리로 전해질의 흡습성과 전기 저항의 변화 이용의 역사는 1938년 경입니다. 구조는 절연체 표면에 LiCl을 함침 시킨 다공질 지지체를 부착한 물체와 백금 전극으로 구성 한 개의 LiCl센서로 측정할 수 있는 상대습도 범위는 30% RH로 여러 개의 센서를 적당 히 접속시키면 10~99% RH의 습도 측정이 가능합니다. Accuracy는 2 % RH. 응답성에서는 저습에서 고습으로 변화할 경우 수분이 걸리며, 고습에서 저습으로 변화할 경우에는 상기 방법보다 2배 늦습니다. 사용상 문제점으로는 고습 상태에서 장시간 방치할 경우 결로시에 LiCl이 유출하여 사용 불능 장시간 사용할 경우 반드시 교정이 필요합니다. 염화리튬의 안전관리상 위험성 응급상황을 위한 내용으로 색상은 무채색에서 흰색까지 물리적 상태: 결정체, 주요한 건강위험성으로 호흡기도 화상, 피부 화상, 눈 화상, 점막 화상, 신장 이상. 잠재적 건강영향이 있습니다. 그리고 전해습도센서는 습도 센서로서 가장 오래된 것이 염화리튬을 이용한 것으로서 1938년 Dunmore가 발표한 것을 시작으로 특성 개성을 위한 연구가 계속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습니다. 염화리튬은 전해질이기 때문에 농도가 차차 엷어져서 수명이 길지 않습니다. 동작 원리는 P2O5에 흡착한 수분을 전기 분해 할 때의 전기량으로부터 수분량을 측정합니다

제품 구성 예

 

DUCT형 온도컨트롤러

덕트형 온도계 국산 대체품 개요 덕트형 온도 컨트롤러의 경우 덕트형 온도센서 또는 덕트형 온도 표시기라고도 하며 독일의 SIEMENS. 또는 WIKAI제품과 국내에서는 오토닉스 제품이 있습니다. 시

fasystem.tistory.com

고분자 습도센서의 원리는 도전성 고분자의 전기적 특성이 물의 흡탈착에 따라 변하는 성질 이용. 저항형으로 전기 저항의 변화를 검출합니다. 용량으로는 정전 용량의 변화를 검출 하명구 조는 저항형의 경우 스틸렌, 아크릴계 화합물에 도전성이 있는 암모니윰이나 유황산기를 결합한 고분자 중합체를 감습재료로 사용하며 흡습에 의해 고분자 물질의 전해질이 이동하여 저항값이 감소됨을 이용합니다. 용량형은 CELLULOSE 폴리 이미드등의 친수성 고분자를 감습 재료로 이용 물의 유전율이 고분자에 비해 크므로 수분의 흡착 시 고분자의 유전율이 커지는 현상을 이용합니다. 습도센서 제품 오토닉스 제품의 예를 들면 아래 링크로 접속합니다.

설명

고분자막 습도 SENSOR의 감습 메커니즘으로 이 센서는 오염에 대한 내구성이 비교적 강하고 사용온도는 60'C 이하입니다. 고분자계 습도센서에는 저항형과 용량형이 있으며, 전자는 제4급 암모늄염 폴리머나 폴리스텔렌 술폰산염이 이용되며 후자는 셀룰로오스를 베이스로 하고 있습니다.

728x90

'전기 자동화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역률 관련 정보  (0) 2022.12.14
써미스터(Thermistor)란  (0) 2022.12.14
Hysteresis.히스테리시스  (0) 2022.12.14
PULL UP.PULL DOWN  (0) 2022.12.14
미터법이란 . 도량형  (1) 2022.12.14
콘덴서.가변 콘덴서  (0) 2022.12.13
전해 콘덴서  (0) 2022.12.13
근접 센서 BLEEDER 저항  (0) 2022.12.05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