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ckOut Relay
본문 바로가기
전기.공압 보전파트

LockOut Relay

by 자동제어기 2025. 4. 10.
"
"
300x250
반응형

개요

록아우트 계전기에 대한 내용 일부입니다. 로크아웃 릴레이라고 명칭 하기도 합니다. LockOut Relay로 표시하고 룩아웃 릴레이는 계장에서 주계전기의 보조 계전기로서 주로 사용합니다. 주계전기가 동작할 때 로크아웃릴레이는 주 계전기와 동기하여 제3의 장치나 계전기 쪽으로 동작을 하는 계전기입니다. 동작 형태는 주계전기의 동작신호가 제거되어도 기계적으로 복귀하지 않기 때문에 수동조작 또는 전자동조작의 별도의 신호에 의하여 복귀되는 보조계전기이기 때문에 롯 아웃계전기라고 명칭 합니다. 사용 장소는 주로 변압기계통이나 발전장비, 보일러 및 터빈등등의 메인패널에서 보호계전기로 주로 사용되는 계전기 제품입니다.

lockout relay 사진
lockout relay

내용

아래 형번 내용은 용성전기의 LOCKOUT Relay의 형번 내용입니다. 용성 전기의 로크아웃 릴레이 스위치의 품번은 YSLR 시리즈 제품입니다. 옵션 사양에 따라서 핸들이 단수와 연결의 블럭스 등을 지정할 수 있으며 로크아웃 릴레이의 전압 사양 AC110, AC220, DC24V.DC110.DC125V 전압등 사용자의 지정에 따라서 다양한 코일 전압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사용 전압은 DC 전압과 AC 전압 타입으로 구분합니다. 또한 테스트버튼에서도 소형과 대형 등으로 구분해서 선정할 수 있으며 접점 용량등 기타 사양은 용성전기 카탈로그 자료를 참조합니다.

로크 아웃 스위치 형 번 사진
용성 록크아웃 스위치

기타

용성 전기 로크아웃 릴레이의 동작 내용은 로크아웃 릴레이에서 조절하는 핸들의 위치가 전면에 TRIP 상태의 위치에 있을 때에는 회로의 이상이 없을 경우의 위치입니다. 그림과 같이 로크아웃 릴레이의 회로 접점에서 FC 접점과 LR 접점은 OPEN 상태입니다. 사용자가 핸들의 위치를 전면의 RESET 위치로 돌렸을 경우에는 스위치 자체가 기계적으로 잠겨져 있어서 사용자가 수동으로 스위치를 TRIP 시킬 수가 없습니다.

스위치 동작 회로도 사진
동작 회로도 설명

RESET 위치에서의 접점 LR은 폐로 즉 붙게 되고 FC 접점은 계속해서 OPEN 상태로 있습니다. 회로에서 이상이 발생할 경우에는 로크아웃 스위치에서 FC 접점은 붙게 됩니다. 또한 접점 LR의 경우에는 순간 전압이 로크아웃 스위치의 COIL에 공급되면서 로크아웃 스위치의 핸들은 TRIP의 위치로 가게 되면서 LR접점은 떨어지게 되는 동작을 하는 스위치입니다. 그러므로 로크아웃 스위치에서 로크아웃 코일에 지속적으로 전압이 공급되는 않게 됩니다.

 

용성전기 타이머

개요전기. 전자 자동제어부품에서 용성전기에서 생산하는 타이머에 관련된 내용입니다. 용성전기에서는 일반 아날로그 Timer에서부터 디지털 타이머까지 있습니다. 기능면에서는 스타델타기동

fasystem.tistory.com

따라서 COIL에서 지속적으로 전원이 공급되어 과열되는 것은 방지합니다. 이렇게 동작한 로크아웃 스위치를 사용자가 RESET 위치로 로크아웃 스위치를 조작하게 되면 접점 FC 그리고 LR접점을 통하여 로크아웃 스위치의 코일에 전압이 공급되게 됩니다. 사용자가 이 상태에서 로크아웃 스위치의 핸들을 리세트 상태로 잡고 있다가 손을 놓게 되면 로크아웃 스위치는 다시 RESET의 위치로 되돌라 가게 됩니다. 이런 이유는 외부 회로의 이상상태에서 접촉이 되는 FC 접점이 떨어지지 않는 한 사용자는 핸들을 RESET위치로 되돌릴 수 없다는 의미입니다. 이것이 로크아웃 스위치의 주요한 동작입니다.

로크아웃 릴레이 (용성전기).pdf
13.72MB

용성전기 로크아웃 릴레이 카탈로그 자료를 참조합니다.

반응형

'전기.공압 보전파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BIMETAL 바이메탈  (0) 2025.04.15
TACHOMETER GENERATOR  (0) 2025.04.11
방수 스위치  (0) 2025.04.09
전원 라인 노이즈  (0) 2025.04.09
5 자리 전류 디스플레이  (0) 2025.04.07
TK 온도 컨트롤러 DI 입력  (0) 2025.04.04
절연 저항 측정 사고  (0) 2025.04.02
감전 사고 예방 자료  (0) 2025.03.26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