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컨덕션, 컨덕티비티. 일렉트릭 컨덕티비티 등으로 문맥에 따른 도전율 내용입니다. 어떤 물체에 대해 전기가 얼마나 잘 흐르는가의 전기전도도입니다. 다시 말해 전도도라는 것은 전기를 전달할 수 있는 전류의 량이며 척도가 됩니다. Conduction, Conductivity.electric conductivity. 도전율의 저항률 역수 기호는 σ=시그마로 표시. 전기 전도도는 기호 σ로 표시되며 미터 당 SI 단위 ( SI / m)입니다. 전기 공학에서는 electric conductivity을 그리스 문자 k 가 사용됩니다. 전기 전도도(σ)는 재료가 전류를 전도할 수 있는 능력을 측정한 것입니다. 전도도의 단위는 미터당 지멘스(S/m) 또는 보다 일반적으로 미터당 밀리지멘스(mS/m)입니다. 전도도의 단위인 지멘은 저항의 단위인 옴의 역수입니다. 전도도의 단위는 때때로 mhos/meter 또는 millimhos/meter로 주어집니다. 저항률 은 전도도의 역수입니다.ρ저항률) = 1/0역수기호 시그마로 계산합니다. 저항률의 단위는 옴 미터(Ωm)입니다.
내용
전기 전도율 (Electrical Conductivity) Electrical conductivity tells us how well a materialwill allow electricity to travel through it.Many people think of copper wiresas something that has great electrical conductivity도체의 종류(금속별,가스별.목재등등)에 따라 얼마나 전기를 잘 흐르느냐를 나타내는 지표전기전도율 단위 : [S/m]=[siemens/m], [1/(Ωm)], [mho/m].
기타
도전률 공식 전기 전도도 (σ)는 전기 저항 (ρ)의 역수입니다 : σ = 1 / ρ 균일 한 단면을 갖는 재료에 대한 저항률은 다음과 같다. ρ = RA / l 여기서 R은 전기 저항, A는 단면적, l은 재료의 길이 저항(R), 고유저항(ρ), 전도도(G), 도전율(σ)과의 관계 저항(Resistance)의 역수 1/R = 전도도(Conductance) G 재료의 물성 및 크기(길이, 단면적) 모두에 의존함 고유저항(Resistivity)의 역수 1/ρ=도전율(Conductivity) σ 재료의 물성에 만 의존함.

금속의 전도율은 온도가 높아질 때 감소, 온도가 낮아질 때 증가 어떤 도체는 절대온도 0도(T=0˚K) 근처에서 전도율이 무한대 → 초전도체 例) 주석,알루미늄,수은 등입니다.
'전기 자동화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KEMA규격 (0) | 2023.02.23 |
---|---|
배수밸브 (0) | 2023.02.16 |
Unipolar. bipolar 설명 (0) | 2023.02.14 |
싸이리스터란 무엇인가? (0) | 2023.01.31 |
자동화 용어 (1) | 2023.01.28 |
자동제어 영어표기 (0) | 2023.01.25 |
FA 용어 (영어.일어) (0) | 2023.01.25 |
지락 이란 (0) | 2023.01.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