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 단위 표기법에 대하여
본문 바로가기
전기 자동화 용어

SI 단위 표기법에 대하여

by 자동제어기 2023. 1. 3.
"
"
300x250
반응형

개요

국제단위 기준에 대한 내용입니다. 우리나라는 국가표준기본법에서 SI단위를 법정단위로 채택(법 제9조~제12조)하였으며, 국가표준기본법시행령 제12조 제2항에 국가교정기관은 산업체, 연구기관 등이 보유, 사용하는 측정기에 대하여 교정을 실시하여야 합니다. 이 경우 교정이 국가측정표준과의 소급성을 유지하여야 한다"라고 규정되어 있습니다. 이에 따라 국제적으로 효율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길이(m), 질량(kg), 시간(s), 온도(K), 광도(cd), 전류(A), 물질량(mol) 등 물상상태의 양을 결정할 때 공통적으로 적용하여야 할 기준으로 SI units 가 채택되었습니다. 국가 측정표준을 정하는 단위의 체계로서 세계 대부분의 나라에서 법제화를 통하여 이를 공식적으로 채택하고 있는 것입니다.

SI단위 표시 구형과 신형
SI단위 표시법

내용

압력표시단위(SI단위) 압력계의 압력표시단위가 MPa 단기눈금으로 통일됩니다. 1999년 10월 1일 이후는 종래 압력계에서 사용하고 있었던 kgf/㎠ 단기눈금이나 kgf/㎠/MPa 병기눈금의 압력계는 제조 그리고 판매 및 진열을 할 수 없게 됩니다. 현재 사용하고 있는 종래 단위의 압력계는 유효기한 중은 사용할 수 있지만, 상거래에 사용하는 증명용이나 압력계 교정증명서 등에는 사용할 수 없으므로 주의해 적용합니다.

다양한 길이 단위 사진
다양한 길이 단위

상거래 증명용이나 교정증명 등에는 SI단위 압력계를 사용하도록 합니다. SI의 언어적 유래는 다음과 같습니다. SI의 유래는 Le Systeme International d'Unites로 프랑스언어입니다. 즉 SI의 표기는 STANFOR. 앞뒤글자의 약어입니다. 국제단위계 The International System of Units이 SI의 배경으로는 1790년경 프랑스에서 미터계 발명에서 출발하였으며 프랑스의 미터법은 강제 법령으로 그것을 어겼을 경우 사형까지 처해질 수 있는 업격한 도량형이었습니다. 1875년에 들어서서 17개국이 미터협약으로 Convention du Metre에 조인함으로써 공식화되었습니다. 1881년 CGS 계 즉 센티미터, 그램, 초에 바탕을 두었습니다. 이것을 과학분야에서 사용하기 시작하였습니다. 1900년경 MKS계로 미터-킬로그램-초에 바탕을 두었으며 실용적 측정에 사용합니다. 그리고 1901년 Giovanni Giorgi가 전기 기본단위 하나를 새로 도입할 것을 제의역학 및 전기단위들이 통합된 일관성 있는 체계의 형성하기 시작하였습니다.

기타

SI단위의 역사적 배경 고대의 측정단위들은 어떤 계획에 의해서 이루어진 단위 체계가 아니었습니다. 각기 필요에 따라 생긴 것이었으므로 분야에 따라서 사용되는 단위도 자연 달리 하였습니다. 인류 생활이 복잡해지고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고대 단위로부터 발전되어 체계를 이루게 된 것이 동양에서는 척관법이며, 서양에서는 야드파운드법 yard-pound 등이 있었습니다. 이렇게 혼재되어 있는 단위계에서 현재 세계 거의 모든 나라가 쓰고 있는 국제단위계(SI)가 공식화되기까지 어느 정도 시일이 걸렸습니다. 관습처럼 오랫동안 사용되고 아직도 사용되고 있거나 그 영향이 남아 있는 경우는 있습니다. SI의 시초는 프랑스혁명 시기인 1790년경 프랑스에서 발명된 십진 미터법입니다. 이 미터법으로부터 분야에 따라 여러 개의 하부 단위계가 생겼으며 이에 따라 많은 단위들이 나타나게 되었는데, 그 한 예가 1874년 과학 분야에서 사용하기 위해 도입된 CGS계이며, 이는 센티미터, 그램, 초에 바탕을 두고 있습니다. 미터법에 대한 내용은 아래 링크자료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미터법 이야기

개요지난번 프랑스혁명을 시작으로 도량형의 시작에 대한 내용에서 추가되는 내용입니다. 아래 링크자료를 참조합니다. 프랑스의 군사 산업 공학자인 프뢰외르 손에서 이뤄진 미터와 용량 단

fasystem.tistory.com

1875년 17개국이 미터협약(Meter Convention, 또는 미터조약 Meter Treaty라고도 부름)에 조인함으로써 이 미터법이 국제적인 단위 체계로 발전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1900년경에는 실용적인 측정이 미터-킬로그램 초(MKS)계가 시작되었으며 1901년에 Giovanni Giorgi가 전기 기본단위 하나를 새로 도입하면 역학 및 전기단위들이 통합된 일관성 있는 체계를 형성할 수 있다고 제의하면서 이에 따라 1935년에 국제전기기술위원회(IEC)가 전기단위로암페어(ampere), 쿨롱(coulomb), 옴(ohm), 볼트(volt) 중 하나를 채택하여 역학의 MKS계와 통합할 것을 추천하였습니다. 1939년 전기자문위원회(CCE, 현재의 CCEM)가 이들 중 암페어를 선정하여 MKSA계의 채택을 제안하였고 이 제안은 1946년 국제도량형위원회(CIPM)에 의해 승인되었습니다. 1954년 제10차 국제도량형총회(CGPM)에서 MKSA계의 4개의 기본단위와 온도의 단위 켈빈도 그리고 광도의 단위 칸델라의 모두 6개의 단위에 바탕을 둔 일관성 있는 단위계를 채택하였습니다. 그 후 1960년 제11차 CGPM에서 이 실용 단위계의 공식 명칭을 국제단위계로 하고 그 국제적 약칭을 SI로 정하였습니다. 아래 SI 단위 내용 첨부 파일 자료 참조 합니다.

SI단위20환산표.pdf
5.11MB


자동단위 환산표. 단위 환산 프로그램을 첨부합니다. 다운로드하여서 사용하십시오.

자동단위 환산 프로그램.exe
0.43MB

단위계표준 SI 단위 명칭과 기호 내용에 대한 자료는 한국표준 과학 연구원자료 첨부 합니다.

SI의 특징은 각 속성 또는 물리량에 대하여 한 가지 단위만 사용 예로서, 길이에 대하여는 미터만 사용합니다 따라서 (자(尺) 또는 피트(foot) 같은 단위를 사용하지 않습니다. 전체적으로 볼 때 단위의 수가 대폭 감소 모든 활동분야에 적용하며 과학이나 기술 또는 상업 등 모든 분야에 적용합니다. 전 세계가 같은 방법으로 사용하는 혼합 단위계에서 상호 교류나 이해를 쉽게 함일관성 있는 체계로 만들었습니다. 몇 가지 기본단위를 바탕으로 이들의 곱이나 비의 형식으로 모든 물리량을 나타내는 일관성 있는 체계를 형성하였습니다. 다른 체계와의 혼합에서 오는 인자들이 없어지게 하였습니다.

728x90
반응형

'전기 자동화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AC모터 드라이브  (0) 2023.01.08
회로 보호용 차단기  (0) 2023.01.06
선간 전압  (0) 2023.01.04
PID 컨트롤  (0) 2023.01.04
Gray Code.그레이코드 엔코더.  (0) 2023.01.02
저 감 절연 이란?  (0) 2022.12.28
EMI.EMC.EMI . EMC Filter  (0) 2022.12.28
슬라이닥스 용량 계산법  (0) 2022.12.28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