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국내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차단기류에 대한 LS산전의 차단기 선정 자료 내용입니다. LS산전에서는 선정원칙으로 먼저 사고전류차단이 가능해야 하며 부하전류를 안전하게 통전할 수 있는 차단기로 선정하여야 합니다. 또한 부하 시동 시 등, 사고 이외의 경우에는 차단기가 불필요하게 동작하지 않아야 합니다. 그리고 누전차단기의 정격전류는 부하전류 이상의 것을 선정할 것을 요구합니다. 과부하 단락보호겸용 누전차단기의 정격전류는 분기 회로에서 사용되는 전선의 허용 전류치 이하의 것을 선정하여야 하며, 회로전압에 적합한 정격 장치의 것을 선정하도록 합니다. 차단기 종류에서 과부하, 단락 겸용 누전차단기는 그 시설 개소를 통과하는 단락 전류를 차단할 수 있어야 합니다. 즉 단락전류치 이상의 정격 차단용 량을 가지는 것을 선정할 것 등을 선정 원칙으로 합니다.
내용
차단기 용량 선정에 있어서 고려 사항에 대한 내용입니다. 우선 사용하고자 하는 장소에서의 전압과 선식 그리고 교류전압인지 직류 전압인지를 확인하고 교류전압의 주파수와 사용용 규격등을 확인합니다. 또한 주위의 사용온도 조건등도 고려 사항입니다. 배선용 차단기나 누전차단기에서의 사용 온도 조건에서는 LS산전의 차단기제품은 사용전류와 주위온도의 관계 차단기의 정격전류는 기준주위온도 40℃로 조정되어 있습니다. 이것은 차단기가 배전반과 제어반등의반내에설치되는 것으로 가정하였기 때문입니다. 차단기의 설치장소 온도가 40℃보다 크게 높거나 낮은 경우에는 온도보정 곡선형명 명판 시방 특성 외형을 참조에 따라 보정된 정격전류를 사용하여야 하나, 전원전압의 변동등을 고려하고 최대사용전류가 보정된 정격전류보다 약간의 여유가 있어야 합니다. 아래 링크 자료에서는 배선용 차단기의 선정에 대한 방법과 용량별 전선의 굵기선정등에 대한 조건표 내용등의 자료가 있습니다. 일반적인 차단기 선정 방법에 대한 내용은 링크자료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차단기 용량 선정 방법
개요배선용 차단기 용량 선정 방법에 대한 내용 정리입니다. NFB(No Fuse Breaker) 배선용 차단기 배선용 차단기 용량 계산 방법입니다. 차단기와 전선의 굵기선정 방법의 자료는 아래 첨부한 케이블
fasystem.tistory.com
제품의 사용 온도 조건보다 고온이나 습한 곳에서 사용할 경우 제품의 절연성능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또한 차단기 선정 시에는 부하의 종류를 확인합니다. 전동기 등의 분기회로용으로 사용할 것인지 전등이나 전열기 계통에서 사용하는 차단기와 용접기 회로용 차단기로 사용할 것인지 등등을 고려하여야 합니다. 또한 콘덴서 회로용 차단기와 변압기 1차 측에 사용하는 차단기 그리고 용접기 회로보호용인지 등을 확인합니다. 콘덴서용 차단기 선정 시 고려해야 할 사항에서는 콘덴서 보호용 차단기의 동작 접점이 떨어진 직후 급속도로 절연내력을 차단기의 차단 속도가 비교적 빠른 것을 요구합니다. 콘덴서 회로 전용의 차단기나 개폐기를 선정할 경우 콘덴서등에서의 돌입전류가 130% 내외임을 감안할 때 콘덴서 보호용 콘덴서의 정격은 콘덴서의 정격 전류값에 비해 약 1.5배 정도의 전류를 차단할 수 있는 차단기로 선정합니다.
콘덴서 용량별 기준
개요전동기 출력과 각 전압별 콘덴서 용량 기준에 대한 내용과 단상 전동기 3 상유도 전동기 및 수은등과 기타 기기와 콘덴서의 용량에 대한 내용입니다. 또한 콘덴서용량에 따른 전선의 굵기등
fasystem.tistory.com
위의 자료는 콘덴서 용량별 기준에 대한 내용입니다. 콘덴서 차단기의 경우 콘덴서 용량에 비하여 1.5배 정도로 계산하며 차단기를 선정하도록 합니다.
기타
차단기 선정에서 누전차단기 선정 시 보호 목적에 따라서 감도 전류와 동작 시간을 확인하고 선정하여야 합니다. 고감도형의 경우 누전차단기 감도 전류는 15mA 또는 30mA이며 사용 조건에서는 감전의 위험성이 매우 큰 장소에서는 고감도형의 누전 차단기로 선정하여 사용합니다. 고감도형 누전 차단기는 전기 기기를 배선하고 기기의 접지 공사가 어려울 경우에서도 고감도형의 누전차단기로 선정합니다. 중 감도형 누전차단기로 분류하는 감도 전류의 경우에는 접지 저항은 500Ω이하 감도 전류 100mA 이하의 장소에서 누전차단기의 동작 시간은 0.1초 이내에서 동작할 수 있는 환경으로 허용접촉 전압 50V이 하흐 지역에서 선정하여 사용합니다. 고감도형의 경우 인체 보호에 필요한 장소의 환경에서 적용합니다. 누전차단기에서 누전이나 화재 등 등의 보호용으로는 지락사고의 대해서 주회로와 분기회로의 지락 보호용과 아크발생으로 인한 지락등에 대한 보호 목적등에 따라서 누전 차단기를 선정하여 사용합니다. 각 종별 인체 허용 전압은 종별 내용은 링크 자료와 첨부한 자료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누전차단기 선정 시에는 보호목적과 부하기기에 보호 접지에서의 저항 값에 의하여 정격감도 전류를 선정합니다. 또한 현장에서의 배선 선로의 길이가 길어지는 경우에는 선로에서의 정전 용량등에 의하여 누설 전류가 발생할 수 있고 이러한 누선 전류는 누전차단기에 오동작을 하는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선로가 길어진 경우에는 누선 전류를 적절하게 계산하여 누전 차단기를 선정합니다. 일반적으로 누설 전류의 전류 값에 비하여 누전 차단기의 정격감도 전류는 10배 정도로 선정합니다.
LS산전의 배선용 차단기와 누전차단기 선정에 대한 자료 내용 참조 합니다.
'LS산전.동아전기.슈나이더'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분전반용 차단기 선정 (1) | 2025.03.27 |
---|---|
LS 단상 INVERTER (0) | 2024.05.29 |
분전반용 누전차단기 (0) | 2024.04.04 |
METASOL 전자접촉기 (1) | 2024.04.02 |
XGB PLC 내용 (0) | 2024.02.14 |
단상 인바타 (1) | 2024.01.09 |
Smart IO 카드 (0) | 2023.12.15 |
EMPR 보호계전기 (1) | 2023.10.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