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IFM 정전용량형 근접스위치 KB5003시리즈에 대한 내용입니다. IFM센서 KB5003 타입의 경우 생산 종료된 제품으로 2017년경 단종된 제품입니다. 대체 형번은 IFM의 정전 용량 방식의 근접스위치 KI5302 형번입니다. 국산으로 대체할 경우 한영 NUX의 정전용량형 근접스위치 또는 오토닉스의 CR 시리즈 타입의 정전 용량형 근접스위치로 대치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KB5003 타입의 근접스위치는
내용
IFM정전용량형 센서를 설치할 경우 활성화 영역근접센서가 감지면 위에서 전기적 정전용량 값에 의하여 댐핑 된 재질에 반응하는 방식입니다. 검출방법은 이 영역에 검출을 하고 출력하는 기능을 가진 센서입니다. NO타입의 경우 Normally open으로 평상시 출력 접점을 OPEN 되어 있는 타입으로 검출 영역 내로 검출체가 진입하게 되면 근접스위치는 출력 스위칭이 작동되어 NO는 E동작합니다. 반대 동작은 NC 동작으로 Normally closed 상태를 말합니다. 검출 물체가 검출영역 내에 없는 상태에서 제어 출력을 하고 검출 영역 내로 검출 물체가 진입하게 되면 NC회로가 열리면서 차단동작을 하게 됩니다. 또한 IFM 정전용량형 근접스위치에서는 IO 프로그래밍 가능 합니다. normally closed 또는 normally open 선택 가능 한 제품군이 있으며 Positive 스위칭 일 경우 positive 출력 신호 반대 L-Negative 스위칭에서는 negative 출력 신호 반대 L+입니다. Power on 지연시간 작동 전압은 밀리세컨드 영역 내 에서의 동작을 합니다. 애플리케이션 이후에 센서가 작동 준비를 위하여 필요로 하는 시간에서의 확인 내용입니다. 정전 용량형 근접 스위치에 대한 추가 내용은 아래 링크 자료에 있습니다.
조절 감도 히스테리시스 switch on 그리고 switch-off 동작 사이의 차이에서 누설전류출력이 차단된 경우에도 2선식 유닛의 내부 공급을 위한 전류는 부하를 통하여 흐릅니다. 전류소모 3 선식 DC 유닛을 위한 내부 공급을 위한 전류스위치 포인트 드리프트 주변 조건의 변화 요소인 온도, 압력, 습도등에 의한 스위치 포인트의 이동쇼트 방지를 활성화할 수 있습니다. ifm 센서는 펄스 된 쇼트 방지 기능으로 과전류로부터 보호하는 회로가 있으나 별도의 안전장치는 필요합니다.
정전용량형 센서등에서의 주위 환경 요소에서 백열전구. 돌입전류가 큰 모터나 히터 전자 접촉기등으로부터 전류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릴레이 및 쇼트의 낮은 저항 부하등의 돌입 전류는 IFM센서의 보호기능 작동을 일으켜서 센서가 꺼질 수 있습니다. 모든 근접스위치류에서는 센서가 안전하게 기능할 수 있는 제조사의 카탈로그 성능상의 전압 영역에서 안정적인 직류 전압을 사용해야 합니다. 정전압이 아닌 어댑터나 브리지 다이오드를 걸어서 사용하는 것 등은 하지 말아야 합니다. DC의 경우 DC SMPS를 사용하도록 합니다.
기타
국내 제품이나 기타 정전용량형 근접스위치의 동작 방식이나 원리는 첨부한 링크 자료를 참조 합니다.출력회로도에서 NPN 오픈 콜렉터 출력형의 경우에는 +com 타입으로 부하는 +에 연결합니다. PNP 오픈 콜렉터 출력형의 근접스위치에 경우에는 -COM 타입의 출력회로입니다. 따라서 부하는 -부하 측에 연결하여 사용합니다. 아래 사진을 참조합니다.
IFM정전 용량형 근접스위치의 제품 품번 KB5003 타입의 경우에는 생산이 종료된 제품입니다. 기존에 사용하는 제품이라면 제품의 특성을 확인하기 위한 카탈로그 자료를 참조합니다. 대체 형번은 IFM의 KI5302 타입의 정전용량형 근접스위치 또는 국내제품으로 사용합니다.
'단종품 카다로그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H3AM 타이머 (0) | 2024.08.28 |
---|---|
PZ2-51 센서 (0) | 2024.08.26 |
APS KOYO 근접 스위치 (0) | 2024.07.10 |
FE5V 센서 (0) | 2024.07.03 |
ATE1 타이머 (0) | 2024.05.07 |
초소형 포토센서 (0) | 2023.08.23 |
XS 근접스위치 (0) | 2023.08.14 |
PMU 사용방법 (0) | 2023.08.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