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인바타제어로 기동 되는 모터를 기동 하면 정격전류의 약 6배의 기동전류가 흘러 모터 1차 측 트랜스에 전압강하가 발생하는데 모터영향이 크면 그 영향도 커지게 되고 같은 트랜스에 접속된 인버터는 대폭적인 전압강하부족전압 또는 순시정전이 발생해 보호기능이 동작하는 것입니다 인버터는 상전원을 입력받아 콘버터부에서 직류전압으로 정류하는데 만약 상 전압이 같지 않고 불균형하게 되면 인버터 특성상 어느 한상으로 전류가 흐를 수 있습니다 이렇게 되면 콘버터부에 다이오드 모듈이 소손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대책으로는 상전원 변동률이 이내로 되게 하시고 입력 측에 리액터를 설치하십시오.
내용
인버터에 전원을 넣어도 로더에 불이 들어오지 않는경우 우선인버터 케이스를 떼어낸 후 PCB상에 충전램프빨강 발광 다이오드에 불이 들어오는지 확인 하시고불이 들어오지 않으면 인버터 불량 PCB사이에 접속 케이블이 빠져있는지 확인하십시오. 케이블의 커넥터가 단단히 고정되어 있는데도 로더에 불이 들어오지 않으면 로더 불량이거나, PCB 불량이므로 새 로더를 연결하시거나, PCB를 수리받으시기 바랍니다 인버터로 모터의 회전방향을 바꾸려 할 경우 모터의상 중 어느 한상이 단선되거나 절연이 파괴되면 기동이 잘 되지 않고 회전방향이 바뀌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인버터와 모터의 출력배선을 확인하시고 모터 절연 파괴를 확인하십시오 인버터 사용 중 제동 TR이 소손되면 원인으로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지만 리프트나 엘리베이터와 같이 하강 시 관성이 큰 부하에서는 감속 때 모터에서 높은 회생전압이 순간적으로 인버터로 인가되기 됩니다 이러 한때감속시간이 너무 짧거나 정격의 제동저항(DB저항)을 달지 않았을 경우에 제동 TR이 소손될 수 있습니다. 또 제동저항이 패널 같은 곳에 short 되어도 무한전류로 인해 제동 TR이 소손됩니다 인버터의 충전저항 소손 될 경우 인버터에 전원을 투입하면 콘덴서로 돌입전류가 들어갑니다 , 이런 돌입전류를 억제해서 낮추는 것이 충전저항인데 인버터의 입력전원을 빈번하게 ON 그리고 OFF 하게 되면 높은 피크치의 돌입전류가 자주 인가되게 돼서 충전 전류가 소손됩니다. 그러므로 모터를 운전정지 할 경우에는 인버터에 전원을 넣었다, 뺏다 한 하지 마시고 제품별 RESET단자를 이용해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순시정전 후 복전이 자주 되는 곳에 설치된 인버터에서도 위와 같은 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외부에서 전압 DC0 ~ 10V 신호변환기를 사용해서 주파수를 설정하는데 주파수가 안정되게 설정되지 않을 경우 주파수가 흔들린다는 것은 V1과 5G 단자에 DC전압이 안정되게 입력되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입력 DC전압을 안정되게 해 주기 위해 V1과 5G 단자에 50V 0.01㎌ 콘덴서를 달으시면 주파수 떨림을 막을 수 있습니다. 인버터의 전원 입력단자와 출력단자의 전류를 다르게 나올 경우는 인버터의 입력 측은 220/440V의 상용전원이 변동 없이 입력되는 반면, 출력 측의 전압은 주파수에 비례해 가변 되고 특히나 부하특성에 따른 토오크 보상으로 인해 출력전류는 계속적으로 변화합니다 이런 이유로 입력과 출력 측의 전류가 차이가 나게 됩니다.
오동작 및 소손
인버터를 가동하기만 하면PLC, 센서 등과 같은 주변기기들이 오동작의 대책은 인버터는 전압을 초당 10000번 이상 고속 스위칭 하는 전력변환 장치이므로 자체적으로 노이즈가 발생합니다이 노이즈가 여러 가지 경로를 통해서 주변기기에 영향을 줍니다 대책으로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주요 내용을 요약해 보자면 인버터 입출력전원단자(RST, UVW)와 제어배선은 30cm 이상 분리해 배선하시고(최소 10cm 이상배선이 교차하게 되는 경우는 가능한 수직으로 배선하고 평행배선은 하지 마십시오입력측 전원은 절연 트랜스를 사용하시고 주변기기와 별도의 전원을 사용하십시오 또 입력 측에 AC리액터를 설치하는 것도 좋습니다 접지는 인버터와 주변기기 각각 별도접지(2종 또는 3)를 하시기 바랍니다 여의치 않은 경우는 인버터만 어스접지하시기 바랍니다 제어배선은 실드선을 사용하시고 제어단자의 COMMON이나 단자에만 실드를 연결하십시오 실드는 절대로 어스접지와 함께 연결하지 마십시오 인바타 주변기기는 가능한 인버터와 멀리 띄워 설치하시고 여의치 않은 경우는 중간에 차폐판을 설치하십시오 그리고 무엇보다도 기능그룹의 "스위칭 주파수(Carrier Frequency)"를 내려서(약 3~5kHz) 사용하십시오. 노이즈 필터를 사용하는 것도 한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인버터를 동작하면 주위에 설치된 ELB의 오동작원인은 인버터의 입출력선간 및 대지 간에 정전용량이 존재해서 본래의 모터 전류 이외에 이 정전용량을 경유하는 누설전류가 흐릅니다 상용전원에 비해 인버터의 경우 누설전류에는 고주파 성분이 많이 포함되어 있는데 이 높은 주파수대의 대지 간 누설전류가 누전차단기의 동작전류를 높게 흐르게 하여 누전차단기가 동작합니다. 스위칭 주파수(CarrierFrequency)가 높고 배선길이가 길고 대지 간 정전용량이 크면 클수록 누설전류도 크게 됩니다 대책으로는 고조파 surge용 누전차단기를 사용하던가 감도전류를 높게 설정합니다 또한 기동 모터에 전용 접지선을 배선하고 인버터의 스위칭 주파수를 낮추게 되면 누설전류가 감소합니다.
제동저항 기타
제동저항이 타버렸다는 것은 여러가지 이유가 있지만 인버터 용량에 맞지 않는 제동저항을 달았거나 제동저항이 패널등에 short 되었을 때에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 관성이 큰 부하를 빈번하게 감속하게 되면 회생전압에 의해 제동저항이 뜨거워져 소손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는 제동저항의 냉각을 고려하거나 인버터의 용량을 높일 필요가 있습니다> 인버터로 모터를 운전하는데 진동은 모터의 진동은 크게 종류로 구별되는데 모터에 전원을 차단했어도 발생하는 진동을 기계적 진동모터에 전원이 인가되었을 때만 발생하는 진동을 전자적 진동이라고 합니다. 기계적 진동은 부하 측에 이상이 있을 경우에 발생하는 것이므로 부하를 점검하시 고전자적 진동의 대책으로는 스위칭 주파수를 높여 전류 파형을 안정되게 하고2차 측에 AC리액터를 설치하거나 모터의 발란스를 높은 것으로 교환합니다 인버터의 출력파형은 상용전원과는 달리 펄스형태의 전원이므로 이 전원파형을 만드는 스위칭 주파수로 인해 모터에 전자소음이 발생합니다구 모델인 시리즈는 스위칭 주파수가 가청 주파수대인 약 1.5kHz이어서 모터의 소음이 발생했지만 현재 출시되고 있는 제품들은 스위칭 주파수를 3 ~ 15kHz로 가변 할 수 있어서 약 10kHz 이상으로 설정해 놓으면 가청주파수대를 벗어나게 되므로 모터의 전자소음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스위칭주파수를 올릴 때는 노이즈 대책이 필요합니다.기타 점검 :NOISE 방지대책은 캐리어 주파수를 낮춘다 동력선과 제어선을 이격 시킵니다. 노이즈 필터를 채용한다 , 페라이트 코어를 결속합니다. 또한 차페 실드선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인버터 어스접지 또한 확인해야 합니다. 써멀기능 모터의 소손을 방지하기 위해서 일반적으로는 열동형 써멀 릴레이를 사용하는데 이것은 저속에서 운전 시에는 모터 냉각저하에 의한 온도상승까지 감지할 수는 없습니다. 그래서, 인버터는 운전전류값과 주파수에서 모터온도 특성을 계산해서 모터 과열을 보호하는 것이 전자써멀 기능입니다. 1대의 인버터로 여러 대의 모터를 구동하는 경우나 인버터 용량에 비해 모터용량이 너무나 적은 경우는 보호할 수 없습니다. 고조파와 고주파는 :고주파는 주파수 자체의 값이 큰 것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3kHz 또는 20kHz 등과 같은 것입니다 고조파는 30Hz 같은 저주파수에서도 그 출력파형을 분석하면 기본파 외에 정수배의 성분 (예로서 5차는 150Hz, 7차는 210Hz 등을 갖고 있으며 이 성분을 고조파라고 합니다.
인바타 제동 저항 관련 ls 인바타 제동 저항내용을 참조 합니다.
'전기.공압 보전파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EOCR 선정 (0) | 2023.05.26 |
---|---|
무접점 자기 유지 회로 (0) | 2023.05.19 |
지멘스 휴즈 (0) | 2023.05.05 |
KIN-M12PS 센서 (0) | 2023.04.21 |
SUN SWITCH (0) | 2023.03.15 |
전기히타 점검 방법 (0) | 2023.03.14 |
히타 저항성 부하 (0) | 2023.03.14 |
COFI 점화 트랜스 (0) | 2023.03.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