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권 변압기
본문 바로가기
전기.공압 보전파트

단권 변압기

by 자동제어기 2024. 6. 27.
"
"
300x250
반응형

개요

단권변압기에 대한 내용입니다. 단권변압기용 차단기 용량 선정 방법과 단권변압기의 제작 방법 등에 대한 내용입니다. 단권트랜스와 복권 트랜스의 차이는 1차 측과 2차 측의 절연 여부에 있습니다. 단권트랜스의 경우 코일하나로 일차와 2차 모두 권선을 합니다 그렇지만 복원의 경우에는 1차와 2차 코일을 나누어서 권선을 하는 트랜스입니다. 따라서 단권과 다르게 복권은 1차 코일과 2차 코일을 별도로 감기 때문에 1차 코일과 2차 코일은 절연이 되어 있습니다. 단권과 복권 구분이 어렵다면 간단하게 테스터기를 저항 측정 레인지에 놓고 1차 코일과 2차 코일을 측정해 보면 복원 트랜스의 경우 무한대가까이를 가리키게 됩니다. 그러나 단권원 경우 1차와 2차를 같은 저항 레인지에 놓고 측정을 하면 0에서 수 옴 정도만 측정됩니다.

단권 복권 변압기 회로 사진
단권과 복권 변압기

내용

변압기는 특성상, 전원 투입시에는 투입 잔류자기, 투입 전압의 위상 등에 의하여 정격전류에 비하여 돌입 전류는 수 배에서 20배 이상의 돌입 전류가 흐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적절한 차단기를 설치하여야 합니다. 차단기는 반드시 2차 측이 아닌 1차 측에 설치하도록 합니다. 트랜스에서 2차 측 단락보호를 목적으로 1차 측에 일회용 휴즈나 MCCB 배선용 차단기가 설치합니다. 1차 측에서 차단목적으로 휴즈로 사용할 경우에는 지연 용단형 휴즈를 사용합니다. 또한 배선용 차단기를 사용하는 경우 정격 치는 변압기의 효율에 돌입전류를 고려하여 다음의 계산식으로 차단기 용량을 선정합니다.

 

차단기 용량 선정 방법

개요배선용 차단기 용량 선정 방법 NFB(No Fuse Breaker)에 대한 내용입니다. 배선용 차단기 배선용 차단기 용량 계산 방법입니다. 전선의 굵기는 아래첨부한 케이블 자동선정 파일을 참조해 주세요.

fasystem.tistory.com

차단기 용량 선정에 대한 방법은 위의 링크 자료를 참조합니다. 또한 단상 변압기에 차단기 용량 계산하는 방법입니다. 차단기 정격전류용량 A= 1.2 또는 2 X 정격용량(VA) 1차 전압(V)으로 계산합니다. 단상의 경우 1 kVA의 변압기의 1차 전압이 380V 일 때 차단기 정격전류(A) = 1.5 X 1000VA(=1kVA) 380=3.94A 값이 계산됩니다.이럴경우 약 6A의 차단기를 사용합니다.삼상의 경우(3상) 1kVA의 변압기의 1차 전압이 380V 일 때 차단기 정격전류(A) = 1.5 X 1000(VA) (380V X1.732) =1.5X1000,658=1500,658=2.2A 값이 계산 됩니다.차단기는 3A정도로 사용 합니다.

트랜스 권선비 사진
트랜스 권선비

기타

위의 사진은 다운 트랜스의 권선비입니다. 트랜스를 감을 경우 권선 비율을 10:1로 감을 경우의 예의 그림입니다. 1차 측의 입력 전압이 AC500V이고 2차 측의 전압이 50 VAC가 필요하다고 하면 트랜스를 감을 경우 권선비는 10:1로 감아서 다운 트랜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트랜스 용량 계산

트랜스 용량 선정 방법 개요 전원 트랜스의 용량 계산에 관련된 내용입니다. 전원 트랜스의 명판에 보면 예를 들어서 1kw 용량이다 이렇게 표시되어 있습니다. 그렇지만 그 용량이 트랜스의 정격

fasystem.tistory.com

트랜스의 구성 요소에서는 철심의 역할은 교류의 유도전류를 발생시키고 복권형 트랜스의 2차 코일에 유도된 전류를 전달하기 위하여 얅음 규소재질의 강판을 조밀하게 적층식으로 제작합니다. 그리고 트랜스 보빈의 경우에는 철심과 코일이 서로 절연하는 역활을 합니다.그리고 권선의 경우에는 코일선으로 에나멜이 코팅된 구리 또는 구리 합금선을 사용합니다.애나멜 피복은 절연도와 내열성에 관계되는 재질 입니다.코일을 감을 경우 코팅된 피복이 벗겨지지 않아야 합니다.이렇게 트랜스는  제작 합니다. 트랜스 용량 선정의 경우 아래 링크 자료를 참조합니다.

반응형

'전기.공압 보전파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소형 근접 스위치  (0) 2024.06.30
콘덴서 용량별 기준  (0) 2024.06.25
니크롬 열선  (0) 2024.06.23
파워 릴레이  (0) 2024.06.21
HT17 릴레이  (0) 2024.06.19
릴레이 프로텍터  (0) 2024.06.19
JQX-13 릴레이  (0) 2024.06.18
PCB 에어 유니트  (0) 2024.06.06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