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RA 화염 감지센서
본문 바로가기
자료실

QRA 화염 감지센서

by 자동제어기 2022. 11. 21.
"
"
300x250
반응형

개요

버너 컨트롤 제어의 부품 중에 화염감지기의 경우에는 화염으로부터 발생하는 자외선이나 적외선을 파장 특성을 이용하여 검출하는 원리의 센서입니다. 화염감지기의 동작 방식에 따라서 자외선과 적외선 겸용으로 제어하는 직렬형 방식과 자외선과 적외선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병렬방식의 화염 감지기가 있습니다. 직렬형의 방식은 자외선 또는 적외선을 모두 감지하여야 출력하는 타입이고 병렬형 타입은 자외선이나 적외선 둘 중 하나만 감지하여도 출력하는 센서 타입입니다.

내용

제조사별 차이는 조금 있으나 자외선과 적외선 타입으로 빛의 파장 영역대에서 작동하는 타입입니다. 화염감지기 센서의 구조는 제조사별 파장의 미세한 차이는 있지만 화염으로부터 일정한 파장을 감지하여 감지기 센서에서는 그 신호에 의하여 전류가 출력되는 원리입니다. 이러한 QRA시리즈 유형의 화염 감시에서는 가스 또는 오일 화염에서 방출되는 UV 방사선이 사용됩니다. 이러한 UV 방사서의 경우 화염 신호를 생성합니다.

방사선 검출기는 두 개의 전극이 있는 UV에서 민감한 셀로, 다음과 같은 경우에 점화됩니다. 감지되는 영역의 스펙트럼의 190~270nm 범위의 방사선으로 투사되어 화염 감지기 회로의 전류등을 출력할 수 있는 것입니다. UV 셀은 연소실 내부에서나 그 외 지역의 일광에서 반사광으로 인한 내화 벽돌에서 나오는 빛에서는 반응하지 않습니다. 또는 보일러실 외란광 영역인 조명의 빛. 할로겐램프의 조면, 용접 장비 또는 점화 스파크는 충분한 UV를 방출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외란광의 경우 오동작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점화되는 방사선. X선과 감마선도 생성될 수 있어 주의하여 설치 운전 합니다.

제품

LANDIS STAEFA QRA10.QRA53기기에서의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화염 감지센서와 HONEYWELL의 C2027.C7035등의 화염 감지기 센서는 아날로그 4-20mA을 전송하는 타입등과 Krom schoder의 UVS10 시리즈등과 같이 여러 제조회사의 제품등이 있습니다. 불꽃에 존재하는 UV를 감지하여 동작시키는 센서. UV Detectors입니다. 불꼴(화염) 감시에서는 각종 기기의 발화 화염에서 방출되는 UV 선을 감지했을 때 전기적 신호를 생성합니다. 방사선 검출기는 2개의 전극이 있는 UV에 민감한 전지로, 빛의 스펙트럼의 190~270nm 범위에서 UV 발생하는 원리입니다. 이러한 스팩트럼의 범위 내를 화염 감지기에 내장된 감지 회로로 검출하여 출력하는 원리입니다. 따라서 이러한 파장을 발생할 수 있는 용접 장비의 불꽃. 할로겐램프의 조면, 점화 플러그의 사프크 등에서도 이러한 스팩트럼 내의 파장을 낼 수 있기 때문에 외란광에 주의하여 사용합니다.

QRA 화염감지기.pdf
0.52MB

UVS10 추가 자료는 아래 링크에서 확인 할 수 있습니다.

 

UVS SERIES

Kromschroder 가스버너용 기기 UVS8T flame safety UV scanner with the new and improved UVS10D2. 무제한 용량의 가스 버너 모니터링용 또는 팬이 없는 열풍로, 가스 연소 보일러, 산업용 함께 용광로 및 초과 가스 소

fasystem.tistory.com

자외선 불꽃감지기 C7027.C7035 하니웰.pdf
0.20MB

자외선 불꽃 감지기 관련 자료를 참조 합니다.

UVS10.pdf
0.88MB

크롬 슈레더의 UVS10 제품의 경우 화염감지기로 화염으로부터의 자외선을 감지하여 작동하는 감지 센서입니다. UVS10의 카탈로그상 동작 시간은 10,000시간으로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교체해야 하는 보수품이라 할 수 있습니다. 10,000시간을 초과하여 사용하는 것은 안전상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인 화염감지기와 마찬가지로 자외선을 감지하면 내부 컨버팅 회로를 통하여 출력을 하는 제품입니다. UVS10 관련 내용입니다.

반응형

'자료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특수카드 PLC 연결 케이블  (0) 2022.11.22
FUJI 열동형 계전기  (0) 2022.11.22
슈나이더 AC1 연결블럭  (0) 2022.11.22
REL-PR3 RELAY.  (0) 2022.11.22
Modbus.통신 메뉴얼  (0) 2022.11.21
FX3U.422BD 케이블 핀 번호  (0) 2022.11.21
MELSEC 한글 메뉴얼  (0) 2022.11.21
NSD 바리캠 자료  (0) 2022.11.21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