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CV전선
본문 바로가기
전선,기자재

FCV전선

by 자동제어기 2023. 7. 12.
"
"
300x250
반응형

개요

FCV전선에 대한 내용입니다. 전선에서 CV.FCV.TFR-CV.FGV전선이란 것은 FCV전선에서 명칭의 차이입니다. FCV의 전선 용어는 영어표기로 Flame retardant Crosslinked polyethylene Pvc의 내용에서 FCV표기로 약어입니다. 용어에서 FCV와 TFR-CV차이점 역시 명칭의 차이입니다. FCV는 Flame retardant Crosslinked polyethylene PVC의 스텐퍼 약자로 표기한 내용이며, 용어 TFR-CV는 Tray Flame retardant Crosslinked polyethylene PVC의 약어입니다. 트레이용 동력 난연 내화전선을 의미합니다. 즉 Flame retardant의 의미는 난연을 의미합니다. FCV전선은 난연 케이블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난연성이랑 불에 타지 않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불이 붙으면 불은 붙지만 불이 소화되면 자기 소화성을 지닌 전선을 의미합니다.

내용

TFR-CV.TFR-3.TFR-CVV.TFR-CVV-SB.TFR-GV등과 같이 TFR뒤에 용도에 따른 명칭이 들어가는 경우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TFR-3의 경우 소방용 케이블로 내화 케이블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380도의 온도에서 15분 정도를 견뎌 낼 수 있어야 합니다. TFR-CVV-SB의 경우에서는 케이블 내를 동으로 차폐한 난연 차폐 CV전선입니다. 전선 명칭에서 TFR-CV는 Tray Flame retardant Crosslinked polyethylene PVC의 경우에는 일반 전력용 난연 케이블입니다. TFR-GV전선의 경우에는 접지선으로 주로 사용합니다. TFR-8의 경우에는 소방용 케이블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관련 자료는 링크 자료에서 검토합니다. 아래 자료는 TFR-8에 관련된 내용입니다.

 

전력 | 제품 | BUSINESS | 대한전선

국내외 전력망 산업을 선도하는 대한전선의 전력 제품을 소개합니다.

www.taihan.com

다음은 FCVV전선의 내용에 대한 설명입니다. FCVV명칭에 대한 내용 보기는 아래 링크로 접속합니다.

 

FCVV전선

개요 F-CVV 전선과 F-CVV-S 그리고 F-CVV-I전선에 대한 설명입니다. 기본 적으로 F-CVV전선의 경우 일반 배전용 케이블로 제어 계장용으로 줄 주로 사용합니다. 제조사에 따라 조금씩 품번이 다를 수 있

fasystem.tistory.com

기타

중 저압 전력 케이블이란 가교 폴리에틸렌(XLPE)을 주 절연재료로 전선의 피복으로 만들어진 케이블로서 0.6/1KV에서부터 22.9kV까지의 일반 전력용 케이블을 통칭하여 중 저압 케이블이라고 합니다. 이러한 명칭들은 제조사의 상품명으로 주로 명칭 되었습니다. 아래 내용은 FW-CV.F-CV전선 CV전선 2심에 대한 내용입니다. 아래 사진을 참조합니다.

F-CV 2심(LS전선)의 규격표 입니다.
F-CV 2심(LS전선)

각 제조사별 규격표를 참고합니다 (표는 LS전선) FW-CV전선과 F-CV전선에 대한 내용은 아래 사진을 참조합니다.

F-CV 1심(LS전선) 규격표
F-CV 1심(LS전선)

한국전기설비규정(KEC규정)에서 내열배선에서의 한국전기설비규정은 내열 배선의 적용 장소는 방재설비의 표시, 경보 에어요 배선등에 있어서 내열전선은 가열 곡선을 따라 화재 발생의 신호 전달 및 통전할 수 있는 전선으로 FR-3. 난연성의 CV전선을 규정하고 있습니다. 한국전기설비규정에 의한 고효율 전동기(모터)의 경우 MCCB(배선용 차단기)와 연결하는 전선은 CV전선으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11KW의 모터 정격 전류가 22.9A 일 경우 배선용 차단기는 32A용량을 그리고 전선은 F-CV (CV) 3C ㎟ 상당(허용 전류는 38A) 이상의 CV전선으로 선정하여 사용합니다.

LS전선 F-CV의 사진
LS전선 F-CV

한국 전기 설비규정 KEC규정에 대한 내용은 아래 첨부한 카탈로그 자료를 참조합니다.

한국 전기 설비규정 (KEC).pdf
11.57MB

전기 설비에서 한국전기 설비규정집을 참고합니다. 매일전기 FCV전선 용량 선정 자료 참조합니다.

FCV전선 용량 선정표.pdf
2.17MB

제조사별 내용정리를 참조합니다.

반응형

'전선,기자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선 용어 정리  (0) 2023.09.13
엘리베이터용 케이블  (0) 2023.09.12
고무 케이블  (2) 2023.09.05
FCVV전선  (0) 2023.09.04
UL전선 규격  (1) 2023.05.19
전선 보호관  (0) 2023.04.07
로맥스 전선  (0) 2023.03.28
테프론 전선  (0) 2023.03.13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