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오토닉스의 근접스위치에 대한 일부 내용입니다. 원주형 타입 외에 각주형 근접스위치에 대한 내용으로 이주파형 근접스위치에 대한 내용입니다. 제품은 오토닉스 제품으로 각주형 타입의 근접스위치는 PS 또는 PSN으로 시작되는 형번의 근접스위치입니다. 공급 전원 타입으로 DC타입과 AC 타입 등이 있습니다. 각형번에 대한 내용은 형번 구성 방식에서의 주문 방식과 첨부한 오토닉스 카탈로그 자료를 참조합니다. 이 타입의 센서에서 국내 오토닉스의 제품을 COPY 한 중국산 제품등이 있는데 간혹 오토닉스 제품으로 오인하여 AS 요청등의 경우도 있습니다. 중국산 제품의 경우 외형은 동일하나 제품의 품질은 조잡하여 내구성에서 많은 문제를 가지고 있습니다. 다만 가격은 저렴한 편으로 중국산 장비등에 부착되어 국내에 들어오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내용
현장에서는 근접스위치를 적용할 경우 개별로 사용하는 경우도 있지만 여러 개의 근접스위치를 근접하여 설치하기도 합니다. 이렇게 근접스위치를 여러 개 밀착하여 설치할 경우에는 근접 센서 간 상호 간에 주파수 간섭으로 인하여 근접스위치가 오동작할 수도 있습니다. 이럴 경우 여러 대의 근접스위치를 사용할 경우 근접스위치의 동작 방식은 고주파 발진회로를 가지고 있어서 이러한 고주파발진회로에서 주파수의 간섭 방지를 위해 발진 주파수를 조정한 타입으로 이주파형 근접스위치를 섞어서 사용할 경우의 예입니다.
이렇게 동일제품 품번의 고주파 발진회로를 가진 동일한 종류의 근접센서를 여러 개 근접하여 사용하게 되면 고주파 발진 주파수가 동일하여 서로의 발진 진폭을 방해하거나 또는 채터링 현상 등으로 인하여 근접스위치는 오동작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들로 인하여 각은 품번의 근접센서를 나란하게 근접하여 사용할 경우에는 표준타입의 근접스위치와 이 주파 타입을 중간중간에 교차하게 설치하여 사용하면 이러한 상호간섭 현상을 줄일 수 있는 방법입니다. 예를 들어서 일본 OMRON의 각주형 근접스위치 제품 형번 직류 3 선식 타입으로 TL-N20 ME1 타입으로 여러 개를 근접하여 부착하여 사용할 경우 이주파형 제품 형번인 TL-W20 ME15 타입의 이주파형 근접스위치를 교차하게 설치하여 사용합니다. 국내 오토닉스 제품 역시 PSN17-5DN제품으로 여러 개를 근접하게 설치하여 사용할 경우 이주파형 제품인 PSN17-5DN-F 타입을 교차하게 설치하여 사용하면 채터링이나 주파수 간접으로 인한 오동작을 줄일 수 있습니다.
기타
근접스위치 사용 방법에서는 먼저 근접스위치 제조사의 근접스위치에 대한 전원 범위를 확인합니다. 근접스위치 전압이 AC형 근접스위치의 경우 제조사마다 다르게 표시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100~240AC. 또는 90~240 VAC 등등 우리가 일반적으로 AC전원을 테스타기로 측정을 해 보면 정격이 220V인 데도 불구하고 200V 이하가 측정될 경우도 있고 간혹 244V처럼 상하로 일정하지 않는 경우가 있어 신뢰할 수 있는 전원으로 사용합니다. 또한 AC근접스위치는 2 선식으로 반드시 부하를 연결하여 사용하여야 합니다. AC 전압이 근접스위치 FH 바로 연결하면 근접스위치는 파손됩니다. 외산이나 국산이나 같습니다. 또한 정격을 넘어서게 되면 근접스위치는 고장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전원 라인의 전원을 사용할 경우 단권트랜스를 사용하지 말고 1차와 2차 전압이 절연된 복권형 트랜스를 사용하여야 합니다. 단권형 트랜스의 경우에서는 트랜스 구조상 입력 1차와 출력 2차의 권선이 한 줄로 감겨 있으므로 1차와 2차는 절연이 될 수 없는 구조입니다. 이러한 단권 트랜스는 절연이 되어 있지 않아 누설 전류가 발 생 할 수 있고 그러한 누설 전류는 2차 전압과 관계없이 라인을 타고 흘러 근접스위치를 파과하고 근접스위치를 통해 근접스위치가 연결된 부품 또한 파괴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2차 전원을 사용할 경우 1차와 2차가 절연된 복권형 트랜스를 사용하여야 합니다.
'오토닉스,메닉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SRPH SSR (0) | 2025.02.03 |
---|---|
TH4M 온 습도 컨트롤러 (0) | 2025.01.24 |
AT8N-1 타이머 (0) | 2025.01.07 |
ATE1 타이머 (0) | 2024.12.11 |
T4M 온도계 (0) | 2024.12.10 |
PT60 타워 램프 (2) | 2024.12.02 |
PTM-A 타워 램프 (0) | 2024.11.27 |
ATS8W-11 타이머 (0) | 2024.11.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