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멀티 테스타기의 경우 디지털 타입과 아날로그 타입 등이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전압과 전류 저항등을 측정할 수 있는 테스타기입니다. 멀티 테스타기는 일반적인 전압 전류 측정뿐 아니라 저항 측정방법 등에서 콘덴서의 이상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으며 IGBT 모듈등의 이상 여부를 판별할 수도 있습니다. 순방향 다이오드와 제너 다이오드등의 이상 여부도 확인 가능합니다. 여기서는 우선 저항 측정 방법과 콘덴서 측정 방법 그리고 다이오드 측정 방법에 대한 내용등입니다.
내용
저항측정(OHMS) 저항의 측정은 절 환 스위치 OHMS의 범위에서 이루어지며 눈금판의 읽기는 맨 위쪽에서 한다. 실렉터스위치가 지시하고 있는 값과 눈금판의 값을 서로 곱한 것이 측정 저항값이다.
아날로그 멀티 테스타기에서의 저항 측정에 대한 내용입니다. 예를 들어 저항 측정 시 멀티 테스타기에서 실렉터스위치를 1K로 돌려서 맞추고 저항을 측정하였더니 검은색과 같은 지침에 가 있다면 저항값은 서로 곱해준 값이 되는 것입니다. 위의 눈금판에서 저항의 측정 눈금은 10과 20의 중간인 15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IGBT모듈
개요IGBT에 대한 내용입니다. IGBT는 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의 머릿글자를 모아 명명한 약어로 IGBT라고 합니다. 내용은 절연게이트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약자입니다.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fasystem.tistory.com
이 경우 멀티 테스타기에 SELECTOR 스위 치가 1K에 있다면 15X1000=15kΩ으로 측정합니다. 주의할 점은 저항을 측정 시에는 멀티테스타기의 바늘이 반드시 0옴을 지시하게끔 조정해야 합니다. 0옴 조정 방법은 일반적으로 방법은 리드선을 서로 맞대고 0 Ω 조정기를 돌려서 지침의 지시가 0옴이 되도록 조정합니다. 이러한 저항 측정이 중요한 것은 일반 저항의 저항 값을 알아보는 것도 있지만 전기기 전열기기등에서의 고장 진단에 활용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저항의 측정 범위에서 응용하여 전기제품의 고장을 진단할 수 있다. 위에서 저항을 측정한 결과 0 Ω 이면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이며(다 리미가 합선됨) 무한데 이면 전기적으로 단선된 것 을(다리미의 열선이 끊어짐) 의미한다
기타
아날로그 멀티 테스타기로 전해 콘덴서를 점검하는 간단한 방법입니다. 실렉터 스위치 위치를 R X100 또는 R X 1000 위치에 높습니다. 콘덴서의 극성에 리드를 접속하고 측정을 합니다. 일반적으로 이렇게 측정하였을 경우 멀티 테스타기의 지침이 올라갔다가 서서히 지침이 내려오면 전해콘덴서는 정상으로 봅니다. 혹 이렇게 측정할 때 지침이 아주 천천히 내려오게 되면 셀렉타의 위치에서 측정 레인지를 배로 높여서 측정합니다. 이 경우에는 전해 콘덴서를 점검하는 방법입니다. 전해 콘덴서가 아닌 마일러 콘덴서에서는 전해 콘덴서와 달리 지침이 약간 올라갔다가 내려오면 정상으로 판별합니다.
위의 설명 내용에서 멀티 테스터로 리드봉을 연결하였을 때 지침이 올라갔다가 전혀 내려오지 않는 다면 콘덴서는 내부 단락이 있다고 봅니다. 또한 멀티 테스터의 실렉터를 맞추고 리드봉을 연결하였을 때 멀티 테스타기의 바늘 지침이 전혀 올라가지 않으면 내부 단선으로 판별합니다. 그렇지만 아주 작은 소형 pcb 등의 칩 콘덴서와 같이 용량이 적은 콘덴서는 테스터 지침이 올라가지 않을 수 있으니 콘덴서 테스트기를 이용합니다.
제너 다이오드와 정전압 다이오드를 멀티 테스트기를 이용하여 점검하는 방법입니다. 우선 다이오드의 방향을 확인합니다. 다이오드에서 Cathode는 -이고 Anode는 +입니다. 정류 또는 검파 및 가변용량 다이오드에서는 순방향으로 멀티테스타기의 리드봉은 R X100에 놓고 연결하였을 경우 순방향에서는 멀티 테스타기의 지침이 올라가야 합니다. 그리고 반대로 연결하였을 때 멀티 테스타기의 바늘 지침은 움직이지 않습니다. 제너 다이오드의 경우에는 역방향에서 지침이 올라갑니다.
첨부한 자료는 태광의 아날로그 테스타기 제품 카탈로그 자료입니다. 사용 설명서 자료 참조 합니다.
'전기.공압 보전파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E52 시리즈 온도 센서 (0) | 2025.04.29 |
---|---|
Ethernet 개요 (0) | 2025.04.24 |
열 전대 종류 (0) | 2025.04.22 |
FR-D700 한글 카탈로그 (0) | 2025.04.20 |
INVERTER FR-SW3 (0) | 2025.04.19 |
170M FUSE (0) | 2025.04.18 |
접지선 선정 방법 (0) | 2025.04.16 |
구형 FX4S 사용 방법 (0) | 2025.04.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