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단상 모터 스피드 컨트롤에 대한 내용입니다. 단상 모터 스피드 컨트롤러. 단상 모터의 2 선식의 경우 스피드 컨트롤 제어를 할 경우 주파수 변화나 릴레이등을 이용하여 가능한 부분이 있으나. 주파수 변환자체가 쉽지 않고, 정역운전 시 회로문제 속도와 토르크의 문제로, 부하용량 문제로 모타가 소손될 수 있으므로 단상 모터제어식 4 선식 모터를 사용하며 제조사별 사양이 있으므로 참고합니다.
내용
일반적으로 유도전동기는 교류 3 상전류를 R.S.T상에 인가하면 3상 모터는 회전합니다. 이 3상 전류 중에서 R.T상 2 상의 바뀌면 회전방향이 바꾸어지게 됩니다. 즉 전동기의 회전 방향을 바꾸려면 3상 유도 전동기의 경우 두 개의 상을 서로 바꾸면 됩니다. 그렇지만 단상 모터의 회전 방향을 바꾸기 위해서는 단상 전동기의 경우 전원 콘덴서의 위치를 바꾸어 사용합니다. 모터에 따라서 제조사별 차이는 있지만 모터 내부의 배선을 변경하여 회전방향을 바꿀 수도 있습니다. DC 모터의 경우에는 극만 변경하면 모터의 회전 방향이 반대로 회전합니다. AC에서 회전 방향을 바꾸어 주는 또 한 가지는 AC 드라이버 제품 즉 INVERTER를 사용하면 간단하게 회전 방향을 바꿀 수도 있으며 속도 조절 역시 가능합니다. 단상에서는 전류와 전압의 위상을 같게 하기 위해 보통 진상콘덴서를 부착합니다. 이렇게 연결한 진상콘덴서에서 극성을 서로 변경시켜 주면 모터의 회전 방향이 바뀌게 됩니다.
GGM 단상 모터 컨트롤 자료 보기.
기타
3 상 유도전동기를 역회전시키기 위해서는 회전자계의 방향을 반대로 공급해야 하는데 , 이때 방법이 R.S.T 3 상의 3 선 중 어느 2개의 선 즉 R.T상의 접속을 바꾸게 되면 역회전이 됩니다. 따라서 3 선 중 어느 2 개의 선 접속을 바꾸면 모터 회전 방향도 바뀌게 됩니다. 그렇지만 단상 유도전동기는 회전자계가 없으므로 회전력을 얻기 어렵기 때문에 주권선 외에 보조권선을 설치하여 보조권선에서 회전력을 얻게 됩니다. 따라서 이때 역회전 방법은 보조권선의 접속을 바꿔주면 되기 때문에 보조권선의 접속을 바꾸어야 합니다. 직류전동기는 전기자전류와 계자전류가 모두 반대로 흐르면 회전방향이 바뀌지 않기 때문에 이때에는 전기자전류와 계자전류 중 둘 중 하나의 전류 방향을 반대로 흘려야 합니다.
DC모터 속도제어
개요 DC모터 소형 간단한 제어 회로입니다 PWM 제어 방식으로 소형 DC모터 콘트롤 또는 조명의 밝기 등을 제어 할 수 있는 회로 입니다. 내용 아래 회로도 참조 합니다. 활용 간단히 IRFZ44N를 적용하
fasystem.tistory.com
따라서 전기자전류와 계자전류 중 어느 하나의 방향을 반대로 바꿔야 합니다. 또한 주파수와 전압을 변경하는 것이 최적의 모터 제어 방법입니다. 주파수를 변경하지 않고 주파수만 변경하면 주파수가 감소하고 모터가 과전압과 여자 되어 모터가 끊어집니다. 따라서 인버터는 주파수를 변경하면서 동시에 전압을 변경해야 합니다. 출력 주파수가 정격 주파수보다 높으면 전압은 계속 증가할 수 없으며 최대 값은 모터의 정격 전압과 같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모터의 회전 속도를 반으로 줄이려면 인버터의 출력 주파수를 50Hz 에서 25Hz로 변경 한 다음 인버터의 출력 전압을 400V에서 약 200V로 변경해야 합니다. DKM 모터 컨트롤 자료 참조 한 자료 내용입니다.
'전기 자동제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센서 커넥터 (0) | 2023.02.04 |
---|---|
SHUNT 무엇인가? (0) | 2023.02.02 |
FUJI ELECTRONICS (0) | 2023.02.02 |
파워서플라이 (0) | 2023.02.01 |
3상 전력 조정기 SHIMADEN (0) | 2023.01.29 |
KRN 온도 기록계 (0) | 2023.01.27 |
HM-12 LEVEL (0) | 2023.01.27 |
모노레바 스위치 (0) | 2023.01.26 |
댓글